3.22.61.246
3.22.61.246
close menu
KCI 등재
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글쓰기 특징 -「다산성(多産性)」(1966)의 문맥 형성 과정 고찰
Singularity of Kim Seung-ok`s Writing -Focusing on 「DaSanSeong(Fertility)」
백지은 ( Baik Ji-eun )
국제어문 44권 303-327(25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052178

김승옥 소설의 가장 큰 특징을 개인의 내면의 형상화라고 하는 견해에 동의한다면 김승옥 소설의 형식 연구는 내면이 언어화되는 방식을 살피는 데 그 본령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다산성」을 통해 이 작업을 수행한다. 「다산성」은 김승옥이 최초로 시도한 장편소설이었다는 점에서 소설 혹은 서사에 대한 작가의 의식적 태도를 엿보이는 작품이기도 하다. 「다산성」에서 서사적`문맥`이 형성되는 양상을 살펴서, `개인의 내면`이라는 무형의 세계가 언어의 맥락이라는 신체를 얻는 과정을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다산성」에서 서사는 현실적으로 발생 가능한 사건과 행위의 필연적 동기화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아니었다. 임의적인 명명과 그것의 반복적 연쇄에 의해 자기 지시적으로 형성되는 문맥이 서사의 흐름을 담당하였다. 의도와 필연에 구성을 의탁하는 것이 아니라 연상과 가정으로 이질적인 화소들을 생성하는 이 소설에서, 작가의 의식은 신념과 판단의 영역이 아니라 가설과 유희의 영역에서 생성됨을 알 수 있었다. 명명의 연쇄적 연결과 현실에서 절단된 가정과 연상의 접속, 크게 이 두 개의 양상이, 즉 김승옥 소설에서 `문맥`을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문맥에서 일관된 의미나 메시지를 추출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그 문맥에 새겨진 패턴에 의해, 즉 문장이 아닌 문장의 잉여적 반복에 의해, 복합적인 전체를 함께 볼 수 있게 하는 리듬이 생겨났다. 그것은 이 작품이 풍기는 어떤 분위기 혹은 느낌을 소통시키는 데 기여한다는 해석도 가능하였다. 김승옥 글쓰기의 특징에 대한 이러한 고찰을 바탕으로 이 작가의 `문학어`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다. 다산과 불모를 선명하게 구별할 수 없는 세태를 `다산성`이라는 제목으로 표현했듯, 김승옥의 글쓰기는 현실의 경험이나 실질적 객관세계를 지시적으로 (정립) 반영하거나 재현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근대문학의 성립과 함께 형성되어 온 근대적 언어관, 즉 생각(또는 의미)을 언어가 표상(또는 재현)한다는 논리에 입각한 언어관이 무력해지는 지점을 발견할 수 있다. 1960년대의 문학이 새로운 문학적 분위기와 쟁점을 불러일으켰던 사실을 언급한 것은 바로 이 지점에서 설명되어야 한다. 있는 세계를 드러내려 하기보다 스스로 하나의 세계를 이루는 이 시대의 문학어는 20세기 한국 문학사에서 전환점을 마련하였으며 이후 20세기 후반 한국문학의 중요한 전초가 되어준다.

「DaSanSeong」 is the first novel that Kim Seung-ok tried to write. We could catch the writer`s sense of narrative from this novel because it is longer than what he had written before.(He wrote a lot of short and condensed stories, so this novel is exceptional case from his works.) The narrative-context of this novel shows the process of composing the body in language. We studied the process in three ways. The narrative in this novel is not realistic on the inducement of events and acts. For example, an imaiginary character named for casually "jam-bun" once, and then "jam-bun" appears in only that means repeatedly. The consecutive phrases(by repetitional naming) forms auto-indicative context. The narrative is forming by `arbitrary naming` and it`s repetition. That repetition also draw some patterns on the whole narratively. Some motives in this narrative are created depending not on the necessity or inevitability but on the associations and supposition. Therefore the message of this story is affiliated not with conviction and conclusion but with assumption and amusement. Consistent message and signification could not be found in this context. However certain impression and ambience comes from a kind of rhythm which is created by the pattern in this narrative. The atmosphere is very understandabl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