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14.168.56
52.14.168.56
close menu
KCI 등재
오정희 소설의 표상 연구 -「비어 있는 들」과 「야회」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a Symbol in O, Jeong-Hee`s Novel -on the focus of 「Empty Field」 and 「Night Party」
정연희 ( Jeong Yeon-hee )
국제어문 44권 383-406(24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052209

이 논문에서는 오정희의 「비어 있는 들」과 「야회」를 살펴보았다. 이들 소설은 오정희 소설의 특징들을 잘 대변해주는 소설들이지만 본격적으로 단독조명을 받지 못하거나, 「야회」의 경우 오정희 소설의 보편적인 특징을 비껴가는 소설로 간주되었다. 「비어 있는 들」과 「야회」에서도 일상의 완벽한 안정과 고요는, 부패한 진부이고 위험한 안전이며 살아있는 죽음과 같다. 그렇다고 해서 항상성의 균형을 추구하는 일상(상징적 세계)이 중요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오히려 주부로 등장하는 인물들은 일상의 균열과 파괴를 두려워하며 일상의 아름다운 견지를 위해 주부로서의 역할을 모범적으로 수행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참을 수 없고 통제할 수 없는 낯설고 어두운 힘이 내면에서 꿈틀대고 그러한 실재적 욕망에 대면하게 되는, 주체들이다. 그들은 상징적 구조에서는 실현 불가능한 내면의 진공을 가진, 혹은 진공 그 자체로 존재한다. 그 때문에 그들은 상징적 호명으로 구성되는 현실 안에서 간극을 가로지르게 되고 완전한 자기 자신을 찾지 못한다. 그들이 상징적 현실에 적응하지 못한다거나 상징적 현실 자체가 현실적 효과가 없다는 것이 아니라, 상징적 정체성이 자기 존재의 전부가 아니라는 것이다. 그것은 내부의 텅 빈 자리 때문인데, 그 자리로 출몰하는 내적 타자들이 그들의 일관성과 자기통제를 침식해 들어감으로써 인물들을 `탈중심화`한다. 「비어 있는 들」의 경우 `그`의 방문에, 「야회」의 경우 `비늘을 털며 다가오는 거대한 동물`에 두려운 매혹을 느끼고 압도되면서, 주인공들은 최소한의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공허한 몸짓을 보여준다. `그`나 `비늘을 털며 다가오는 거대한 동물`은 내적 타자의 명백하고 탁월한 형상화이다. 이 형상들은 일상현실의 열린 구멍이고 내면의 진공이며 주체를 `탈중심화`하는 괴물들이다. 이와 같은 오정희 소설에서 `나는 타자이다`의 형상을 보게 된다. 이는 오정희 소설이 리얼리즘의 메타서사가 지배적인 1980년대의 징후적 소설이었음을 역설적으로 드러내는 것이며, 동시에 오정희 소설의 앞선 감각을 반증하는 것이다. 오정희 소설은 사회에 길들여지지 않는 원초적인 잉여의 힘이 상징적인 사회를 지지해준다는 욕망의 역설을 시연한다. 오정희의 인물들에게 내부의 꿈틀거리는 어두운 힘은 해방되어야 할 억압된 삶의 힘이 아니다. 그 힘은 삶의 유지를 위해 포기되고 부인되지만 다른 한편으로 주체가 저항할 수 없는 견인력을 행사한다. 어두운 힘에 근접함에 따라 주체는 치명적인 위기에 노출되지만, 역설적으로 그것은 삶의 힘의 원천이 된다. 오정희 소설은 불투명하고 수수께끼 같은 욕망과의 위험한 대면을 보여주지만, 한편으로 안전하게 사는 것은 더욱 위험하다는 니체의 명제를 떠올리게 한다.

This study try to research the two novels of the writer O, Jeong-Hee. These novels are 「Empty Field」 and 「Night Party」. In these novels, everyday life involves various problems. It means a kind of decomposition, insecurity, even death. The housewives as a main character perform a good roll given to them. But, they always feel a certain desire. That is a subject boiling up in their dark inside. So, they are being a existence as a vacuum that have a dream never come true. Because of that disequilibrium which is between everyday life and dark inside, the characters of the two novels can not obtain themselves as a pure and perfect oneself. This means not that they are not able to adapt themselves to the Symbolic world, but that the Symbolic identity does not represent themselves fully. They have a empty space in their mind. this is the reason why. As a stranger in the dark inside which is appearing frequently erodes their coherence and self control, the characters of the two novels are being a existence of decentration. In case oh 「Empty Field」, `she` feels an attraction to `him`, and in case of 「Night Party」, `she` feels an attraction to `a giant reptiles`. But they are trying to control a distance to the creepy but attractive objects. `He` and `a giant reptiles` are prominent shapes which connote a another oneself of the characters. So, the readers realize that `I`m a someone who is not me`. The two novels of the writer O, Jeong-Hee show a paradox of desire that mean the original, surplus power support a symbolic society. The negative power inside is not a suppressed power of life has to released. On the contrary, it has a certain power which the characters do not make resistance. decentration become to be expose to extreme danger as close as they can, but the dark power turn into a power of life. That is paradox. The writer O, Jeong-Hee`s novels mostly show a hazardous meeting with cloudy and mysterious desire. But, on the other side, Those novels make a reader remind the statement `Living safely is more dangerous` that Nietzsche sai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