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1.235.209
18.221.235.209
close menu
KCI 등재
『화두』와 20세기 식민지 지식인의 탈이데올로기적 저항
The Hwa-Du and The 20th Colony Intellectual`s De-ideology Resistance
오윤호 ( Oh Youn-ho )
국제어문 46권 69-94(26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039702

본고는 화두 에 형상화된 탈식민지 지식인-작가의 내면화된 저항 의식과 그 서술전략을 살펴봄으로써, 20세기 지식인의 `주체 구성의 불확정성`과 `화두로서의 삶`이 갖고 있는 탈이데올로기적 저항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과정에서 『화두』의 마지막 장면에 내면화되어 있는 (탈)식민지적 욕망과 정체성을 여러 번에 걸쳐 분석했다. 『화두』의 `나`는 스스로를 디아스포라 지식인으로 인식하며 제국 이데올로기를 해체하고, 소설이라는 제국의 양식을 전유하며, 경계적 지식인으로의 불확정적 정체성과 제국담론에 대한 저항 의지를 형성해 나간다. 이때 `나`의 저항의식은 제국의 담론으로 환원가능한 관념, 언어, 이성으로서의 저항이 아니라 술어들(기억하기, 읽기, 질문하기)의 탈식민주의적 서술 전략으로 구체화되어 나타난다는 점에서 더 유의미했다. 화두 는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화두에 대한 `답`을 `소설`을 통해, `삶`을 통해 찾았음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look for the de-ideology resistance in The Hwa-Du that 20th intellectual want to resistance the modern empire-power because his identity is as `indeterminacy of subject-construction` and `life of a Question for Buddhist meditation`. So I analyzed the resistance-consciousness internalized in post colonial intellectual and the narrative-strategies In doing that, I explained the (post) colonial desire and identity in the last scene of The wa-Du. In The Hwa-Du, `I` recognized a colonial intellectual in person to want to destroy the empire-ideology. So, he appropriated the novel-writing as the empire-representation style and went to construct the indeterminacy as a trans-boundary intellectual and the resistance intention about the empire-discourse. In this time, his resistance intention is not the resistance with a thought, language, and reason restored as the empire-discourse, but concreted postcolonial narrative-strategy as the predicate(remember, read, and ask). The Hwa-Du display the answer the hwa-du that "how to live?" through the his novel and the his lif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