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14.221.113
52.14.221.113
close menu
KCI 등재
`부사+이다` 구문에 대한 연구 -`그만이다`류를 중심으로-
Study on `Adverb+ida` construction.
최정도 ( Choi Jeong-doh ) , 김선혜 ( Kim Sun-hye )
국제어문 46권 133-164(32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039722

이 연구에서는 `이다`와 결합할 수 있는 다양한 요소들 중 특히 부사에 초점을 맞추어 `부사+이다`가 하나의 형용사처럼 기능하는 구문들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다`와 결합한 일부 부사는 `부사+이다`가 `부사`와 `이다`의 개별의미의 합으로 이해되는 것이 아니라, 그 의미에 변화가 생긴다는 특성을 지닌다. 그리고 또 다른 특성으로는 `이다`가 선행하는 명사와 함께 재구조화를 거쳐 통사적으로 하나의 서술어처럼 기능하는 사례(`최고이다` 등)에 비추어 볼 때, 이들이 본래 그 부사로서의 용법에서는 거느리지 않던 성분을 새로이 요구한다는 특성이 있다. `부사+이다` 전체가 하나의 형용사처럼 자신만의 고유한 격틀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즉, 부사+이다`가 또 다른 하나의 특정성분을 요구한다. 이때 새로이 나타나는 성분은 실현되지 않으면 그 문장의 의미가 완전해지지 않는다. 그리고 `아주`와 같은 정도부사의 수식을 받는 특성도 지니게 된다. 이러한 특성들이 `부사+이다` 중 일부를 하나의 형용사로 파악하고자 하는 논의에 대한 근거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se adverbs which can combind `ida`, and examine the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s of `adverb+ida` constructions which function as much one of adjective in sentence. The meaning of `adverb+ida` is not the sum of meaning of the `adverb` and the meaning of `ida`, and is changed. In addition, these constructions need specific constituent that the adverb originally does not need when it functions as only adverb. In short, these constructions have their own case frame like other adjectives. In this case, it thought that the meaning of the sentence can not become complete if the constituent needed by `adverb+ida` construction does not appear. And these `adverb+ida` constructions can be modified by degree adverb like `Aju`. It might seem that these characters of `adverb+ida` construction can be one of basis for the claim that these construction is worthy being treated as adjectiv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