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3.106.232
18.223.106.232
close menu
KCI 등재
고려시대 `평양`이라는 공간의 탄생과 고려가요의 서정 - 「서경별곡」을 중심으로 하여 -
Beginning of `Pyeongyang` and Emotion of 「Seogyeongbyeolgok」 during the Goryeo Dynasty
김창원 ( Kim Chang-won )
국제어문 47권 175-198(24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043399

이 글은 고려가요를 `고려가요`가 아닌 `고려 개경의 가요`로 전제하고, 「서경별곡」을 지역문학적 관점으로 살펴본 것이다. 지역성 혹은 지역적 정서란 본래부터 그 지역에 존재하는 신비적인 것이 아니라 형성되는 것이다. `형성`이란 말은 동일한 것이 반복 혹은 누적됨으로써 나타나는 것임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고는 고려시대 개경의 지역성 인식의 실마리를 `거주지 공간 개념`으로 풀어보고자 시도하였다. 그것은 어떤 지역에 특수한 형태의 거주 형식이 누적됨으로써 형성되는 특수한 `심상지리`를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서경별곡」에서 평양이 연애시의 배경으로 등장하고 있는 것은 고려시대 개경인의 심상지리에 기초하고 있다. 고려시대 개경의 귀족들은 서울과 그 인근의 근기 지역을 중심으로 생활하면서 그 범위 내의 지역과 그것을 벗어난 지역에 대해 매우 다른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다. 그 결과 평양은 서울이 주는 정치적 긴장으로부터 잠시나마 해방될 수 있는 공간으로 상상되었으며, 이러한 심상지리에 기반하여 평양은 낭만적인 연애의 공간으로 상징화될 수 있었다. 따라서 `평양-연애`로 이어지는 심상지리에 바탕한 사랑노래의 정서는 버림받은 여성 주인공의 비련 혹은 못다 이룬 사랑이 주조를 이룬다. 그리고 그 노래에서 상대방 남성은 자기중심으로 돌아가고, 여성 주인공은 애써 잊었던 이별을 당하는 것으로 귀결된다. 그것은 이곳이 고려시대 개경인들에게 일탈의 해방감 속에서 스치듯 지나가는, 또는 의무나 책임의 무게를 느끼지 않는 사랑을 나눌 수 있는 곳으로 상상되었기 때문이다. 한편, 비대칭적 사랑의 고뇌와 안타까움의 정서를 노래하고 있는 「서경별곡」과 달리, 반려자적 사랑을 주조로 하고 있는 백제지역 시가들은 고려시대 개경인들이 임진강과 한강으로 이어지는 강상수로 너머의 공간에 대해 가지고 있던 심상지리를 기초로 하여 형성된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임진강과 한강 남쪽에 대한 자신들의 심상지리를 중국의 양자강 남쪽에 대한 이미지와 오버랩시키면서, 그 지역을 이처럼 비극적인 곳으로 재구성했던 것이다. 백제지역 가요는 이같은 심상지리를 기반으로 하여, 양자강 남쪽의 비극적 역사의 주인공이었던 아황과 여영, 굴원과 같은 인물들을 여성화자로 분식하여 만들어진 사랑노래하고 할 수 있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Seogyeongbyeolgok」 in the local literary viewpoint on the assumption that Goryeogayo is not `Goryeogayo`, but `gayos in Gaegyeong, Goryei`. Locality or local emotion is something that is formed, not a mystic one that has existed from the beginning in a region. `Formation` is that something is appearing through repetition or accumulation of the same thing. From this viewpoint, the current study tries to explain the recognition for locality of Gaegyeong during the Goryeo Dynasty using `a spatial concept for a place of resident`. This attempt was to understand special `imaginative geography` that is formed by accumulating a special form of residence in a certain region. The fact that Pyeongyang appears as the background of the love poem in 「Seogyeongbyeolgok」 is based on imaginative geography of people living in Gaegyeong during the Goryeo Dynasty. Nobles in Gaegyeong during the Goryeo Dynasty had very different images between Seoul and neighboring areas, and other areas because they mainly lived in Seoul and neighboring areas. As a result, Pyeongyang was considered a space where they could be liberated from political tension in Seoul, and on the basis of this imaginative geography, Pyeongyang became a symbol of romantic love. Accordingly, emotion of love songs on the basis of imaginative geography of `Pyeongyang-love` was mainly tragic love of the rejected heroine or unaccomplished love. And in the song, the man finally became self-centered and the heroine was rejected from the man. This may be because Pyeongyang was considered a place they just passed with a sense of liberation of departure, and a place where they could fall in love without any duty or responsibility by people living in Gaegyeong during the Goryeo Dynasty. On the other hand, differently from 「Seogyeongbyeolgok」 that sings agony of asymmetric love, it can be assumed that poems in Baekje area that mainly dealt with companionship love were formed on the basis of imaginative geography possessed by people living in Gaegyeong during the Goryeo Dynasty for spaces after the Imjin River and the Han River. That is, they reorganized the region as a tragic place by overlapping their imaginative geography about the south of the Imjin River and the Han River with the south of Yangzi River in China. Poems in Baekje area can be explained love stories that were created using female speakers such as Ahwang, Yeoyeong and Gulwon, heroines of tragic history in the south of Yangzi River, on the basis of this kind of imaginative geograph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