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7.228.95
18.227.228.95
close menu
KCI 등재
국어교육학과 교육학의 교류
Interdisciplinary Approach on Korean Education and General Pedagogy
이원희 ( Lee Wonhee )
UCI I410-ECN-0102-2018-700-000417341

학문간 교류는 각 학문의 정체성을 더 분명하게 드러내고 상호 발전을 도모하는 활동이다. 이 글은 국어교육학과 교육학의 교류를 위하여 쓴 것이다. 그러나 교육학의 관점에서 두 학문의 협력 연구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국어교육학의 발전 방향을 제안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논의의 결과를 두 가지로 나누어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어교육학과 교육학의 협력적 연구는 한동안 교과교육학 지식(PCK)을 중심으로 전개할 필요가 있다. 이와 더불어 국어교과와 관련한 실행연구물들이 누적되어 빅 데이터로 구축되어야 한다. 아직은 국어의 표준화 사업에 힘써야 할 일도 많다. 그중에는 학년별 표준 독서목록을 만드는 일은 가장 중요한 과제이다. 또 학생들이 교실에서 사용하는 말을 직접 분석하고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는 일도 매우 필요하다. 둘째, 국어교육학은 이제껏 당연시해 온 기존의 내용체제와 방법적 원리를 재검토하고, 교과 전반에 걸친 공동연구를 도모하며, 모든 생활 영역에 관여하여 학문의 폭과 깊이를 확충해 나가는 방향으로 자리 잡아야 한다.

This article aims to suggest some ideas regarding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on Korean Education (KE) and General Pedagogy (G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nterdisciplinary studies connecting KE and GP would be activated by utilizing various kind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researches. In order to develop KE science, it is recommended that the big data of classroom practices should be collected by educational practitioner. Moreover, it seems a priori task to make an appropriate grade level reading inventory. It also necessary to develop the open courseware that students themselves could analyze and monitor their own (written or oral) performance in real time. Secondly, KE educators should criticize the presupposed concepts and methodologies taken for granted, try to collaborate with the academic studies, and engage in all areas of living experience, thereby they can expand and create their academic scope of KE.

I. 만남의 소회 ― 이어짐
II. 정주(定住) 중심의 탐구
III. 유동적 접속으로 만들어 가기
IV. 또 다른 만남의 예후 ― 탈주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