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7.182.179
18.117.182.179
close menu
KCI 등재
결과를 나타낸 관용형태 `-(으)ㄴ 결과/끝에/나머지`의 문법화 정도와 통사·화용적 의미
The Grammaticalization Phenomenon and Syntactic & Pragmatic Meaning of Usual Form`-(으)ㄴ 결과/끝에/나머지`
곽일성 ( Guo Yicheng )
UCI I410-ECN-0102-2018-700-000417412

명사 `결과`, `끝`, `나머지`는 자립명사로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등 문장성분으로 쓰이기도 하고, 관용형태 `-(으)ㄴ 결과`, `-(으)ㄴ 끝에`, `-(으)ㄴ 나머지`로 문장의 선후행절을 연결해주는 연결어미와 비슷한 통사적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아직 완전한 문법형태소가 되지 않았지만 문법성을 어느 정도 취득하게 된 이 세 관용형태는 대체로 `어휘형태소>복합적 관용형태`의 문법화 정도로 볼 수 있다. 그런데 문법성 증가의 판단 기준인 `의미의 변화` `기능·범주의 변화`와 `재구조화`에 따라 세 관용형태의 문법화 정도를 비교해보면 형태, 의미, 기능이 더 고정된 `-(으)ㄴ 나머지`가 `-(으)ㄴ 결과`와 `-(으)ㄴ 끝에`에 비해 문법화 정도가 좀 더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관용형태 `-(으)ㄴ 결과`와 `-(으)ㄴ 나머지`는 주로 `인과관계로 인한 결과`를 나타내고, 관용형태 `-(으)ㄴ 끝에`는 주로 `시간상의 선후에 의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관용형태 `-(으)ㄴ 결과`는 주로 `분석하다, 조사하다, 실험하다` 등 동작에 의해 어떤 객관적 사실이 밝혀짐을 나타낸다. `-(으)ㄴ 끝에`는 주로 `벌이다, 생각하다, 기다리다` 등 지속, 반복이 가능한 동작에 의해 어떤 목적이나 목표가 이루어짐을 나타낸다. `-(으)ㄴ 나머지`는 `답답하다, 기쁘다` 등 심리 형용사와 `두려워하다, 실망하다` 등 심리 동사들과 결합하여 어떤 지나친 감정 때문에 후행절의 행동을 하게 됨을 나타낸다. 그리하여 이 세 관용형태의 통사·화용적 의미를 각각 `-(으)ㄴ 결과[인과관계][결과가 객관적 사실임을 강조]`, `-(으)ㄴ 끝에[시간상의 선후][많은 시간과 공을 들임을 강조]`와 `-(으)ㄴ 나머지[인과관계][정도가 지나침을 강조]`로 정리할 수 있다.

`결과(result)`, `끝(end)`, `나머지(the rest)` can be used as an independent noun in sentences. Meanwhile, they also can be used as an usual form `-(으)ㄴ 결과`, `-(으)ㄴ 끝에`, `-(으)ㄴ 나머지` in sentences acting a grammatical function to connect two clauses. Although they haven`t become grammatical morphemes, but their meaning become abstract and they have fixed grammatical morphology when they are used as an usual form. Therefore they can be regarded as an incomplete grammaticalization phenomenon `word>compound usual form`. In this paper, we come to the conclusion that `-(으)ㄴ 나머지` is more grammaticalized than `-(으)ㄴ 결과` and `-(으)ㄴ 끝에` in sequence by concerning their meaning abstraction, morphological reanalysis and decategorialization. We also revealed the difference of their syntactic and pragmatic meaning based on corpus data statistics. `-(으)ㄴ 결과` is usually used with the verbs like `분석하다(analyze), 조사하다(investigate), 실험하다(test)` and the later half of the sentence always express a certain objective fact is revealed. `-(으)ㄴ 끝에` is always used with the verbs which may last for a long time or repeat several times such like `벌이다(start), 생각하다(think), 기다리다(wait)`, and the later half of the sentence usually express some goal or mission was achieved. `-(으)ㄴ 나머지` is used with the verbs or adjectives which express emotion or feeling such like `답답하다(stuffy), 당황하다(embarrassed), 기쁘다(happy)`, to express that something was done because the emotion was too strong. Consequently, we can make a conclusion that usual form `-(으)ㄴ 결과` expresses [cause-and-effect relationship][emphasis on which subjective fact was revealed], `-(으)ㄴ 끝에` expresses [order of time][emphasis on a lot of time and effort was spent], `-(으)ㄴ 결과` expresses [cause-and-effect relationship][emphasis on which emotion is too strong].

I. 들어가기
II. 문법화의 개념 및 범위
III. 관용형태 ‘-(으)ㄴ 결과/끝에/나머지’의 문법화 정도
IV. 관용형태 ‘-(으)ㄴ 결과/끝에/나머지’의 통사ㆍ화용적 의미
V. 나오기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