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1.146.223
18.221.146.223
close menu
KCI 등재
수사구조이론(RST)을 활용한 의미 구성 능력 진단 도구의 형식 탐색
Investigation on Diagnostic Tool Form of Meaning Construction Ability by Using RST
박재현 ( Park Jaehyun ) , 박종훈 ( Park Jonghoon ) , 윤신원 ( Yoon Shinwon ) , 이선영 ( Lee Sunyoung ) , 정민주 ( Chung Minju )
UCI I410-ECN-0102-2018-700-000417432

본 연구에서는 수사구조이론(RST: Rhetorical Structure Theory)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텍스트 의미 구성 능력을 진단할 수 있다고 보고, 텍스트 생산자의 의도성이 강한 설득 텍스트를 대상으로 학습자의 의미 구성 능력을 진단할 수 있는 도구의 형식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진단 도구 개발을 위한 기준과 그에 따른 네 가지 도구의 형식을 설정한 뒤, 초, 중, 고등학교 학습자를 대상으로 네 가지 진단 도구 형식을 적용해 봄으로써 그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진단의 타당성` 측면에서는 네 가지 진단 도구의 형식 모두 학습자들의 중심 내용 설정 능력, 목적과 상황을 고려한 내용 생성 및 조직 능력, 텍스트의 전체 체제와 구조 조망 능력을 진단하는 데 무리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주어진 내용을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는 C, D 유형의 결과가 B 유형의 반응과 큰 차이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시행의 용이성` 측면에서는 원고지로 의미 구성 결과를 옮기는 방식을 포함한 C 유형과 D 유형이 A, B 유형에 비해 적합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의미 구성 능력을 진단하는 도구를 개발하는 데에 있어서 글쓰기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진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자료의 적합성` 측면에서는 A, C 유형이 B, D 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료 가공이 용이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A, B 유형이 C, D 유형에 비해 진단 도구로서 우위를 확보할 것으로 최종 판단하였다.

Thinking that learner`s text meaning construction ability can be diagnosed by using RST (Rhetorical Structure Theory),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a form of diagnostic tool for a learner`s meaning construction ability on persuading text with text producer`s strong intention. To this end, this study established the basis for development of diagnostic tools and the 4 tool forms and then, it applied the 4 diagnostic tool forms to learners at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to verify the validity. As a result, from the aspect of `validity of diagnosi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problem for the 4 diagnostic tool forms to diagnose grasping ability of main contents, contents creation and organization ability considering the purpose and situations, and the whole text system and structure grasping ability of all the learners. However, it appeared that the outcome of C and D patterns which could freely transform the given contents did not have a great difference from the reaction of B patterns. Next, from the aspect of `easy execution`, it was found that C and D patterns which included a method to move meaning construction results to manuscript papers had worse adequacy than A and B patterns.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inclusion of writing process in development of diagnostic tool for meaning construction ability would not have a direct influence on diagnosis. Finally, from the aspect of `adequate data`, it was believed that A, C patterns were relatively easier in data processing than B, D patterns. Taking above results together, it was finally judged that A, B patterns secured a dominant position over C, D patterns as a diagnostic tool.

I. 서론
II. 선행 연구 검토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논의 및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