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9.251.154
3.149.251.154
close menu
KCI 등재
인공지능 시대의 인간 지능과 학습
Human Intelligence and Learning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허희옥 ( Heo Heeok ) , 양은주 ( Yang Eun-joo ) , 김다원 ( Kim Dawon ) , 문용선 ( Moon Yong Seon ) , 최종근 ( Choi Jong Geun )
교육철학연구 39권 1호 101-132(32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0408797

이 글의 목적은 인공지능 연구가 급속도로 성장하는 때에 인공지능과 인간의 지능에 대한 주요 학술적 접근을 살펴보고, 이것이 인간의 삶과 교육의 변화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컴퓨터공학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인공지능 개발을 위한 접근 방법과 활용 현황 등을 발전 시기별로 파악하였다. 20세기 중반에 구체적으로 진전된 인공지능 연구 및 개발은 크게 세 시기를 거치며 확산되었는데, 각 시점 별로 인공지능의 개발 방법에 차이가 있으며 이는 인간 지능에 관한 심리학과 인지과학의 연구 동향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둘째로, 인공지능 연구에 많은 영향을 미친 인지과학 분야는 기호주의, 연결주의, 체화주의로 이어지는 관점에 따라 인간의 마음과 지능에 대한 차별화된 시각을 제공하고 있다. 각 관점의 특성을 인간 지능의 의미와 실제적인 적용으로 구별하여 설명하고 특히 체화된 인지 관점에 주목하였다. 셋째로, 심리학의 학문적 분화 이전부터 마음과 인식의 문제와 지성의 본질적 기능을 탐구해온 철학 분야는 현재 지능 관련 연구와 논의에 심층적·총체적 이해 기반을 마련해준다. 인간의 지성과 지능에 대해 발달시켜온 인식론의 주요 흐름을 개괄하고, 현대철학을 특징짓는 사례로 Dewey의 견해를 통해 지성의 실천적, 창조적, 사회적, 해방적 성격을 밝혔다. 이를 종합하여, 인공지능 시대에 인간적인 지능과 학습의 길을 열어주기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anings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human intelligence and learning, and to discuss the implications for future education. For this, we, first, reviewed the history of AI in the field of computer technology, and identified the core concepts and principles employed i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I. The computer technology field has had three booming phases in the course of the development of AI. In each time, it employed theoretical perspectives from relevant philosophical and psychological fields. The remarkable outcomes of AI research also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human learning and intelligence. Second, we traced three dominant perspectives of cognitivism (or cognitive science) for understanding psychological notions of the human mind and intelligence, that is, symbolism, connectionism, and embodimentism. Even though each perspective provides us with different insights on human cognition, their efforts have been oriented towards identifying the originality of the human mind. It seems like the most prominent intelligence theories are developed based on symbolism and connectionism. However, embodimentism provides more comprehensive meanings of the human mind in overcoming the limitation of current theoretical underpinnings of human intelligence. Third, we explored the etymological origin of the term, intelligence, which is related to the ancient Greek `nous`, and the major changes from the pre-modern metaphysical and cosmic conception, through the modern epistemological and personal one, and finally to the postmodern practical and creative one. Dewey`s theory of intelligence is considered as one of the exemplary thoughts, which enables us to understand better the possibilities of human intelligence as practical, creative, social and liberating. Finally, summing up the technological, scientific and philosophical considerations on intelligence we discus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further transformative efforts.

Ⅰ. 서론
Ⅱ. 인공지능의 의미와 기술적 발전 동향
Ⅲ. 인간 지능에 대한 인지과학적 이해
Ⅳ. 인간의 지성과 지능에 대한 철학적 성찰
Ⅴ. 인공지능, 인간 지능, 교육에 주는 시사점
Ⅵ.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