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93.73
3.144.93.73
close menu
KCI 등재
사회자본과 건강한 노후 - 다층모형(Multilevel Modeling)을 활용한 사회자본의 영향 분석 -
Social Capital and Healthy Aging: A Study of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Using Multilevel Modeling
어유경 ( Yugyeong Eo ) , 김인태 ( Intae Kim ) , 홍석호 ( Seokho Hong ) , 김순은 ( Soon Eun Kim )
UCI I410-ECN-0102-2018-300-000409032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건강한 노후에 대한 사회자본의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층모형 접근법(Multilevel Modeling)을 적용하여 사회자본을 개인 및 지역 수준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결속적 사회자본과 가교적 사회자본의 개념을 적용하여 노인 개인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개인 수준의 사회자본은 노인 개인의 신뢰, 네트워크, 참여에 대한 인식 수준을 통해 측정하였으며, 이를 위해 32개 기초지방정부 내 65세 이상 노인 1,060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을 활용하였다. 지역 수준의 사회자본은 지역별 신뢰 평균, 다양한 결사체의 수, 지방선거 투표율 등을 통해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 수준의 사회자본이 높을수록 노인의 주관적 건강 수준은 높았다. 지역 수준의 사회자본의 경우, 일반화된 신뢰 수준이 높을수록, 종교단체, 자원봉사단체, 정치단체, 산업 및 전문가 단체의 수가 많을수록, 정보공개청구율이 높을수록 노인의 주관적 건강 수준이 높았다. 반면 지역주민 신뢰 수준이 높을수록, 시민운동단체 및 노동조합의 수가 많을수록 노인의 주관적 건강 수준이 낮았다. 요컨대 노인과의 긍정적인 관계에 기반을 둔 사회자본은 노인의 건강을 증진시켰으나, 노인과 관계가 없는 사회자본은 노인의 건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거나 오히려 악영향을 미쳤다. 위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사회자본을 통해 노인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적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he healthy aging of the elderly. Multilevel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social capital at individual and regional levels. Also, we applied the concepts of `bonding social capital` and `bridging social capital` to explain the theoretical impact of local social capital on the health of elderly individuals. Individual social capital was measured by the elderly person`s perception of trust, networks, and participation. For this purpose, a survey conducted on 1,060 persons over 65 years old in 32 provincial governments was used. Local-level social capital was measured by the average level of trust among local residents, number of various associations, local election turnout and so on. The results showed that higher levels of individual social capital were linked to a higher subjective health status for the elderly. However, results were mixed regarding the impact of local social capital. Higher generalized levels of trust, greater numbers of religious, volunteer, political, industry and professional organizations, and higher information disclosure application rates were linked to a higher subjective health status for the elderly. On the other hand, higher levels of trust among local residents and greater numbers of civil movement organizations and labor unions were linked to a lower subjective health level for the elderly. These results imply that social capital can promote healthy aging if it is based on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elderly, but that it may have insignificant or adverse effects if it is not related to the elderly. Based on this analysis, policy measures were proposed to improve the health of the elderly through social capital.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