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7.220.114
18.217.220.114
close menu
KCI 등재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위한 듣기 교재의 질문 구성 방안 연구-청자의 주도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position of Questions in Korean Listening Textbooks for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Focusing on Listeners` Initiative
정성헌 ( Jeong Seongheon )
어문론총 71권 57-81(25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433004

본 연구의 목적은 고급 한국어 듣기 교재를 대상으로 듣기 질문을 분석하여, 질문이 얼마나 청자의 주도성을 반영하고 있는지 그 양상을 살피는 데 있다. 의사소통 중심 교육에서 청자인 학습자는 화자와 더불어 적극적인 대화 참여자이자, 잠재적 화자이다. 이러한 청자에게는 세부적인 정보의 이해는 물론이고, 화자 발화의 맥락과 발화 의도 및 태도에 대한 이해까지 요구된다. 따라서 듣기 교재는 세부적인 정보를 파악하는 차원의 `사실적 듣기`, 발화의 맥락을 파악하고 추론하는 `맥락적 듣기`, 발화 의도 및 태도 등과 관련된 `판단적 듣기`의 3가지 듣기 유형을 고르게 활용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들을 교재 분석의 대상으로 삼고 듣기 교재의 핵심 구성 요소인 듣기 질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교재에서 `사실적 듣기`와 `맥락적 듣기` 질문이 많았고 그 제시 형태도 특정 유형에 편중되었다. 또한 `판단적 듣기`의 비중은 지나치게 적었다. 본고에서는 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듣기 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듣기 질문 구성 모델도 제시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listening questions by focusing on listeners` initiative and suggest models of listening question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Learners as listeners are conversational participants with speakers and potential speakers during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Hence, listeners require understanding to comprehend detailed information as well as speech context, speech intention, and attitude. Therefore, listening textbooks need to select and utilize three listening types: “realistic listening” to understand specific information, “contextual listening” to understand and infer the utterances` context, and “judgmental listening” related to the speaker`s intention and attitude. This study focused on listening types as the primary factors of listening textbook analysis and analyzed the questions` core components. Results revealed that most listening textbooks contained several “realistic listening” and “contextual listening” questions including the suggested questions in the textbooks. Conversely, “judgmental listening” questions comprised an excessively small portion in textbook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a question composition model that can be utilized in a listening classroom.

1. 서론
2. 연구적 배경
3. 한국어 교재 속 듣기 질문 분석
4. 청자 중심의 한국어 듣기 교재 질문 제시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