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4.44.108
18.224.44.108
close menu
KCI 등재
<반야용선가(般若龍船歌)>의 천도의식 표출과 연행문화적 의미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Chundo(薦度) and the meaning of playing-culture in < Banyayongsun-ga(般若龍船歌) >
최형우 ( Choi Hyung-woo )
어문론총 71권 127-154(28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433024

본 논의는 불교가사 <반야용선가>를 대상으로 하여 이 작품에 주도적으로 나타나는 `천도의식`의 표출 방식과 이를 통해 본 이 작품 계열의 연행문화적 의미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반야용선가>는 아직 연구사에서 크게 주목된 적이 없는 작품이지만, 우리나라의 영가(靈駕) 천도 문화와 관련하여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어 주목할 만한 작품이다. 이 작품이 불교 의례 가운데 연행되었던 <회심곡>과는 동일한 주제의식을 다루고 있으면서도 서로 다른 방식으로 의식을 표출하고 있다는 점에서 불교의 문화 활동이 단선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반야용선가> 계열 사설은 영가 천도의 발원적 사설과 용선 도해의 묘사적 사설이 결합하는 방식으로 구조화되었다. 사설이 상호 결합되는 양상에 따라 여러 이본의 형태들이 만들어졌으며, 이러한 이본들이 다시 무속과 결합하면서 무가의 사설로도 향유되는 등 폭넓은 문화 활동의 제재로 활용되었다. 특징적인 것은 이들 작품의 사설이 단순히 불교적 천도의식을 표출하는 차원에서 벗어나 있다는 점이다. 발원적 사설은 납음오행 사상을 틀로 삼아 구성되었으며, 묘사적 사설은 용선의 모습과 이 용선이 영가를 태워 극락으로 향하는 모습의 표현에 집중하고 있다. 결국 이러한 사설의 구성은 재(齋)의식에서 연행된 대표적인 작품인 <회심곡>과 마찬가지로 영가의 천도라는 주제의식을 표출하고 있으면서도 연행 현장, 연행 과정에 더욱 밀착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불교가사의 연행은 해당 의식에 모인 대중들의 흥미와 지식 수준 등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회심곡>의 경우 이러한 대중들에게 직접 교시적 목소리를 표출하는 방식을 활용하였다면, <반야용선가>는 대중들에게 천도의식을 직·간접적으로 형상화하는 방식을 활용한 것이다. 이러한 방식의 활용은 결국, 대중들의 흥미를 끌고, 주제의식을 보다 쉽게 전달하는 효과를 의도한 것이었으며, 이러한 효과는 무가(巫歌) <용선가>의 유행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expression of Chundo(薦度)-consciousness commonly employed in < Banyayongsun-ga(般若龍船歌) >, and used this to elicit the meaning of playing-culture. Though < Banyayongsun-ga(般若龍船歌) > does not draw the attention of academia, it is an important piece of literature because it encompasses the meaning of Buddhist Chundo(薦度) culture. This work expresses the consciousness―the meaning of Chundo(薦度) regarding souls―that has a similar meaning but is expressed differently in < Hoesimgok(回心曲) >. These facts indicate that Buddhist cultural activity was not conducted linearly. < Banyayongsun-ga(般若龍船歌) > is structured by combining praying lyrics of Chundo(薦度) regarding souls and lyrics that describe Yongsun(龍船) crossing the Erebus. Different versions were constructed by combining the modality of these lyrics. These different versions combine shamanism, so this work was utilized in various cultural activities, for instance, Buddhist funeral ceremonies, shamanism, etc. It is recognized for displaying more meanings besides the enlightened periods of Chundo(薦度)-consciousness. For example, praying lyrics contain the principle of Five Elements(納音五行), while describing lyrics focus on the description of the scene. Finally, the composition of these lyrics reflects the performance venue and procedure, including Chundo(薦度)-consciousness. Playing of Buddhist Gasa(佛敎歌辭) especially is influenced by interest and knowledge in Buddhism at a performance venue. < Hoesimgok(回心曲) > employs methods to express the enlightened voice, while < Banyayongsun-ga(般若龍船歌) > employs methods to display an image or provide a talk. These methods are intended to attract public interest and present subject consciousness in a less complicated manner. However, the praxis of lyric-composition methods is unable to combine shamanism and facilitate the trend through Shamanic-song.

1. 서론
2. <반야용선가>의 전승과 연행적 특징
3. <반야용선가> 계열 사설의 천도의식 표출 방식
4. <반야용선가> 천도의식 표출의 연행문화적 의미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