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7.186.218
3.17.186.218
close menu
KCI 등재
변화된 문식 환경과 작문 교육의 역할
The Changed Literary Environment and the Role of Writing Education
권순희 ( Kwon Soon-hee )
작문연구 32권 29-60(32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423793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과 문식 환경이 변화하였다. 수직적 소통 방식에서 수평적 소통 방식으로, 일방적 소통 방식에서 상호작용적 소통 방식으로 변화하였으며, 글쓰기 공간이 확장되고, 제3의 구술성이 등장하였다. 그 결과 첫째, 언론사의 보도 자료가 누리꾼에 의해 재해석되고 재구성되어 공유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둘째, SNS와 같은 온라인상의 소통이 현장성을 띄고 오프라인에서 사회 참여 양상으로 나타난다. 셋째, 익명 집단 의사소통 방식을 이용한 사이버공간의 소통과 현실 세계의 소통을 연계하는 양상이 나타난다. 넷째, 합평을 하는 인터넷 문학 혹은 사이버 문학의 활성화 양상을 찾아볼 수 있다. 다섯째, 집단지성을 이용한 지식 생산의 참여 방식으로 `위키 쓰기` 등이 활성화되고 있다. 소통 방식의 변화, 복합 텍스트 사용이 용이한 매체 환경의 변화, 실천적 미디어 생산과 수용을 추구하는 사회로의 변화 등은 필자, 독자의 위상이 기존의 글쓰기 교육에서 다룬 관점과는 달라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공동체 글쓰기, 실천적 글쓰기를 작문 교육에서 다루어야 함을 시사한다. 필자와 독자가 구분되어 있었던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필자와 독자가 대등하고 협력적인 관계로 변모하여 참여자로서의 성격으로 변모하고 있는 것 또한 통합적 글쓰기를 강화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지식 자체를 습득하는 것에 주안점이 있었던 사회에서 이제는 지식을 융합하고 이를 창의적으로 활용하는 사회로 바뀌었으며, 개인이 글쓰기 작업을 주로 하던 사회에서 공동체 안에서 글쓰기 작업을 협력적으로 해야 하는 사회로 변모하였으며, 집단 지성의 구현체인 빅데이터를 이용, 변형, 취사선택해야 하는 시대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작문교육의 새로운 전망과 방향을 견인하고 있다.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and the literary environment have changed. This change marks the move from a vertical and unilateral mode of communication to a lateral and interactive one, in which space for writing has expanded, and tertiary orality has emerged. These changes have resulted in, firstly, the phenomenon of material from media reports being reinterpreted by netizens, and then reconstructed and shared. Secondly, online forms of communication, such as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 take the form of a physical presence, and manifest themselves as social participation offline. Thirdly, a connection has emerged between cyberspace communication, which uses anonymous forms of group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in the real world. Fourthly, we can see a boost in online literature, or cyber literature, in which a variety of people can offer their opinions and criticisms. Finally, participatory forms of communication, in which knowledge is produced using collective intelligence, such as “wiki writing,” are very active. Various changes-including changing methods of communication, changes in a media environment where the use of complex text is simple, and changes in a society that seeks the production and acceptance of practical media-suggest that the status of the writer and reader needs to be dealt with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to that of existing writing education. These changes also suggest that, within writing education, community writing and practical writing need to be addressed. It is also being suggested that, unlike the existing method in which the writer and reader are categorized separately, the writer and reader are becoming equals, and their relationship is becoming cooperative, as they are characterized as equal participants. Furthermore, the need to strengthen integrated writing skills is also implied. Society has moved on from a focus on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itself to a system of merging knowledge and then utilizing it in creative ways; society has also moved on from seeing writing as primarily an individual task to perceiving the task of writing as an action carried out cooperatively within a community. There has been a transformation, moving towards an era in which the use, modification, and acceptance or rejection of big data-the materialization of collective intelligence-is necessary. Changes such as these are pioneering a new outlook and setting the direction for writing education.

Ⅰ. 서론
Ⅱ. 문식 환경의 변화
Ⅲ. 문식 환경 변화에 따른 표현 양상의 실제
Ⅳ. 작문의 역할과 작문 교육의 전망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