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6.76.43
3.16.76.43
close menu
KCI 등재
건의문 쓰기에 나타난 중학생의 쓰기 능력 실태에 관한 분석적 접근 - 2015년 NAEA 중학교 국어과 쓰기 서답형 문항 반응 분석을 중심으로 -
Analytic Approach of Writing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Found out in Suggestion Text Writing - Focused on Analysis of Student Responses to Constructed Response Items of Middle School Korean Writing i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
김승현 ( Kim Seung-hyun ) , 장지혜 ( Jang Ji-hye )
작문연구 32권 117-155(39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423824

본 연구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쓰기 영역 건의문 쓰기 서답형 문항에 나타난 학생 답안을 분석하여, 학습자의 장르에 대한 인식 및 쓰기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문제점 등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7,391개의 학생 반응을 유형화하고 빈도와 양상을 양적으로 분석하되, 면담을 통해 반응의 맥락과 원인을 해석하는 혼합 연구 방법을 취하였다. 중학교 학습자의 쓰기 능력을 분석한 결과, 첫째, 쓰기 상황 및 텍스트 맥락에 대한 이해 미흡, 둘째, 장르에 대한 인식 부재, 셋째, 쓰기 활동 및 문항 풀이에 대한 경험 부족, 넷째, 기초적인 문장 구성 능력의 미비, 다섯째, 문제 해결에 대한 의욕 결여 등의 실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실제 학교 쓰기 수업에서는 장르의 기본적 특성에 대한 학습 및 이를 적용한 글쓰기 활동을 강화하고, 쓰기에 있어서 수사적 요소에 대한 고려의 중요성을 포함하여 맥락에 대한 민감성과 관련한 쓰기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학생들에게 다양한 쓰기 상황에 대한 글쓰기 경험을 제공하는 것과 함께 쓰기에 대한 자신감, 필자로서의 주체성을 정립할 수 있도록 지원해 줄 수 있어야 하며, 보통학력 이하 학생들에게는 글쓰기에 흥미를 가지고 쓰기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student responses to constructed response items of Korean writing in NAEA, and to investigate the genre awareness, writing difficulty of students. For this purpose, 7,391 answers for constructed response items were classified by type. Utilizing the distribution curve of frequency and rate per achievement scor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the achievement level. As a follow-up procedure, this study interviewed 261 students to reveal the meaningful contexts behind the findings obtained from the survey, using mixed method approac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lack understanding on writing context and situations; Second, awareness of genre-based writing is rather poor; Third, lacking experience in writing activities and solving of practical writing problems; Fourth, even proficient level students lack a sentence constructing ability; Fifth, basic and below-basic students showed little problem-solving motive.

Ⅰ. 머리말
Ⅱ. 선행 연구
Ⅲ. 연구 대상 및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쓰기 능력 실태 및 시사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