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4.37.68
18.224.37.68
close menu
KCI 등재
소설『인간 짐승』에 나타난 야수성의 양상
A study on the aspects of bestiality in novel The Human Beast
이정옥 ( Lee Jung-ok )
한국문예비평연구 53권 131-159(29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424654

본고는 에밀 졸라의 소설『인간 짐승』에 나타난 야수성의 양상을 살펴보고 그것을 통해 작가가 제시하는 인간의 근원적인 실존의 문제를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것을 위해 우리는 19세기 진보의 시대를 살아가는 등장인물들의 폭력과 범죄의 문제에 주목하였다. 2장에서는 먼저 주인공 자크의 살해 욕망을 통한 야수성을 살펴보았다. 그것은 유전적 결함에 의한 살해 욕망으로 그것이 환경의 영향 하에서 성취됨으로써 비극적 결말에 이르게 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이것은 소설 전체의 줄거리를 이루며 졸라의 자연주의 결정론을 확인하게 하는 부분이지만 졸라는 여기에서 더 나아가 유전을 자연주의의 과학적 개념을 넘어서는 신화적 성격의 원죄의 숙명성과 영속성으로 확대하고 있음을 보게 한다. 결국 자크의 살해 충동을 통해 재현되는 현상은 19세기 후반 진보의 시대를 사는 인간들의 세기말적 정서임을 암시한다. 3장에서는 사랑에 대한 복수심과 양심의 소멸을 통해 드러나는 플로르의 야수성을 살펴보았다. 이것은 일방적인 사랑의 대상인 자크와 그의 애인에 대한 복수심으로 기차의 탈선과 그로 인한 많은 인명 피해의 대형 사고를 유발함으로써 야만성을 드러내는 것이다. 그녀의 자살 동기 또한 야수성을 드러내는데 그것은 사고에 대한 그녀의 양심의 가책이 아니라 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개인의 감정이 우선시된다는 점에서 인간의 짐승스러움을 재확인하게 한다. 4장에서는 정욕과 탐욕에 의한 인간의 야수성을 살펴보았다. 그것은 루보가 법원장 그랑모랭과 아내의 과거 부정행위에 대한 배신감과 질투심에 의해 폭력을 휘두르고 그녀와 공모하여 그랑모랭을 살해 하는 행위, 음험한 미자르가 아내가 숨긴 돈을 거머쥐기 위해 아내를 서서히 독살하는 행위, 페쾨가 자신의 정부와 가까워진 자크를 질투하여 자크를 살해하려는 행위 등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그랑모랭이 강간으로 어린 루이제트에게 상처를 입혀 죽게 하고, 세브린 역시 자신의 성적 희생자로 만든 사실은 성적 충동에 의한 인간의 짐승스러움을 강조한다. 5장에서는 국가기관과 공직자의 부도덕성을 통해서 인간의 야수성을 보게 한다. 그것은 국가의 권력에 복종하고 자신의 출세를 위해 진실을 은폐하는 공직자들의 폭력에 의해 그 양상이 드러난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우리는 진보의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인간 짐승』에 졸라가 인류 숙명에 관한 신화적 서사, 현대 문명과 원초적 인간의 야만성의 대립에 관한 서사를 그리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결국 우리는 당시 사회 현실에 대한 증인으로서의 작가 의식을 이해할 수 있었는데, 그것은 과학 만능의 진보 시대를 살아가는 인간 존재의 본질에 대한 이해인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aspects of bestiality in Emil Zola`s novel The Human Beast. Through this work, we try to examine the problem of the existence of the human being that Zola presents. For this work, we paid attention to the problem of violence and crime of the characters living in the age of progress. In Chapter 2, we first looked at the beastiness through the desire that Jacques Lantier wants to kill only women. It shows a desire for killing by genetic defects that leads to tragic ending by being accomplish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 This is the part of the story that makes up the entire plot of the novel and confirms Zola`s naturalistic determinism, but Zola shows us further that it extends heritage to the fatefulness and permanence of mythical nature of original sin beyond the naturalistic scientific concept. In the end, the phenomenon that appears in Jacques` killing impulses suggests Emotions of the century that people feel in the age of progress in the late 19th century. In Chapter 3, we examined bestiality revealed by the vengeance for love and the disappearance of conscience. The brutality of Flore is revealed by the vengeance on Jacques and his lover, which led to a derailment of the train that caused many casualties. Her suicidal motive also reveals her brutality. It is because her feelings for Jacques are greater than her remorse for train accidents. In Chapter 4, we examined the bestiality of human beings by lust and greed. It represents the act of Roubaud murdering Grandmorin by conspiring with his wife, after wielding violence by jealousy and betrayal of his wife`s past cheating, Misard slowly poisoning his wife to take the money hidden by her wife, and Pecqueux is prominent in his attempt to kill Jacques with jealousy about Jacques, who is close to his lover. And the fact young Louisette was wounded by Grandmorin with rape and along with the fact that Severine was also Grandmorin`s sexual victim reveals the bestiality of human beings driven by sexual impulse. In Chapter 5, the bestiality of human beings is seen through the immorality of national institutions and public officials. It is manifested in the violence of public officials who obey the power of the state and conceal the truth for their own success. Through such a study, we can confirm that Zola in The Human Beast with the context of the age of progress, has a narrative about the mythological narrative about the destiny of humanity, the contradiction between modern civilization and the primitive human barbarism. In the end, we were able to understand the writer`s perspective as a witness to the social reality of the time, which is an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human beings living in the progressive age of scientific versatility.

1. 서론
2. 결정론과 살해 욕망
3. 사랑의 복수심과 양심의 소멸
4. 탐욕의 구체성과 인간의 야수화
5. 이기심의 발현과 진실의 은폐
6.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