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1.53.209
18.221.53.209
close menu
KCI 등재
<올드보이>에 나타난 화자의 양상과 데칼코마니 구조
Analysis on the focalizer modality and decalcomanie structure in `Old Boy`
임선숙 ( Lim Sun-sook )
한국문예비평연구 53권 225-250(26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424689

본 논문은 초점화를 중심으로 <올드보이>의 서사구조를 분석하고 이 영화의 형식미에 대해 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올드보이>에서는 다중 초점화가 이루진다. 이는 크게 세 개의 초점화자로 나눌 수 있는데 우선 영화 전반부는 오대수의 시선이다. 두 번째는 이우진의 시선인데, 내부 초점화자이지만 오대수의 시선과는 차별성을 갖는다. 영화에서는 내부 초점화자이지만 오대수에게 있어서는 자신을 들여다보는 외부 초점화자로서도 기능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내포작가는 이 모든 서사물을 재현하는 화자로 그 시선이 영화의 밖에 존재하므로 외부 초점화자라고 볼 수 있다. 이 영화는 `이에는 이, 눈에는 눈`이라는 데칼코마니적 복수의 서사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초점화자의 이동으로 인해 오히려 특정인을 악인으로 만드는 경계를 무화시킨다. 즉 극 초반에는 오대수의 내적 초점화로 인물행위의 동기와 미스터리를 풀고자하는 몰입감과 함께 인물에 대한 감정이입도 높아진다. 하지만 극의 중후반, 이우진으로 초점화자가 바뀌면서, 관객들은 이우진이 복수를 할 수밖에 없었던 동기를 인지하게 된다. 이런 구조는 오대수와 이우진 모두 피해자이자 동시에 가해자로서 절대악과 절대선의 경계를 허무는 효과적인 장치가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ocalizer modality and decalcomanie structure in `Old Boy` as centered around the focalization and discuss on formative aesthetics of this movie. In 「Old Boy」, the multiple focalization is formulated. This can be divided largely into three focalizers with the front part of movie in the stare of Oh Dae-soo. Second is the stare of Lee Woo-jin as the internal focalizer, but it has the differentiation from the stare of Oh Dae-soo. In the movie, it is internal focalizer, but for Oh Dae-soo, it may be possible as the external focalizer to look into himself. Lastly, the implied author is the narrator that reproduces all narrative matters to have the view existing outside of this movie as considered for the external focalizer. This movie has the narrative structure of decalcomanie vengeance in `an eye for an eye, a tooth for a tooth`, and due to the mobility of focalizer, it rather invalidates the boundary of making a specific person into a villain. In other words, in the beginning of the script, it has heightened emotion on characters together with the sense of immersion to solve the motivation and mystery of the character in Oh Dae-soo with the internal focalization. However, from the middle part to the later part of the script, the focalizer is shifted to Lee Woo-jin to enable the audiences to realize the motivation for Lee Woo-jin to turn for revenge. This type of structure becomes the effective device to pull down the boundary of absolute evil and absolute good for Oh Dae-soo and Lee Woo-jin to be all victims as well as offenders at the same time.

1. 서론
2. 다중 초점화자와 언술행위
3. 복수와 징벌의 데칼코마니 구조
4.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