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8.42
3.145.8.42
close menu
KCI 등재
한글의 기원과 『훈민정음』의 흔적 - 게일의 “The Korean Alphabet”(1912)에 새겨진 서양인 훈민정음 기원론의 역사 -
Tracing the Origins of Hangul and of Hunminjeongeum(『訓民正音』) - Westerners' Theories about the Origin of Hunminjeongeum as Recorded in “The Korean Alphabet”(1912) by James Scarth Gale -
이상현 ( Lee Sang-hyun )
국제어문 72권 7-48(42pages)
DOI 10.31147/IALL.72.1
UCI I410-ECN-0102-2018-800-000407795

본고의 목적은 게일(James Scarth Gale, 1863∼1937)이 『왕립아시아학회 한국지부 학술지(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에 발표한 논문(“The Korean Alphabet”(1912))에 새겨진 서양인의 훈민정음 기원론을 살펴보는 것이다. 게일이 인용한 서양인의 훈민정음 기원론은 대부분 1890년대에 연원을 둔 논저들이다. 이처럼 서양인의 훈민정음 기원론이 1890년대를 기점으로 출현한 이유는 1880년경 파리외방전교회의 한국어학적 성과물의 출판 덕분이었다. 이로 말미암아 유럽 동양학자들은 한국어의 문법 및 어휘의 실상을 바탕으로 한 연구가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나아가 『한어문전』에서 설총을 한글의 창시자로 언급한 짧은 서술이 보여주듯, 한국어의 실상을 접한 서구인들은 한글의 역사와 기원에 대해 질문하기 시작했다. 서구인의 논의는 1890년대에 이르면 단지 한글의 기원을 상상하고 추론한 차원이 아니라, 한국문헌에 새겨진 『훈민정음』의 흔적을 주목한 모습들이 등장한다. 이러한 유럽 동양학자 훈민정음 기원론의 전변에는 문호개방 이후 한국을 체험하고 한국의 문헌자료를 대면한 서양인 외교관 및 개신교선교사의 존재가 있었다. 이러한 한국주재 외교관 및 선교사의 연구적 기반 속에서, 게일은 서구인의 통념적 한글기원론인 `梵字기원설`이 아니라, 한국의 한문전통과 문헌 속 기록을 바탕으로 한 `古篆기원설`이라는 자신의 가설을 정립시킬 수 있었던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Westerners` theories about the origin of Hunminjeongeum(『訓民正音』) as recorded in “The Korean Alphabet” (1912) by James Scarth Gale(1912) and published in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These theories that Gale cited were from writings in the 1890s. After the publication of works on Korean language by Societe des Missions Etrangeres de Paris around 1880, European scholars of the Orient were able to conduct research based on the actual state of Korean grammar and vocabulary. In this manner, along with the discovery of the Korean language by the West, writings on the origin of Hangul(한글) appeared. In the 1890s, discussions were not the origin of Hangul but about tracing the origin of Hunminjeongeum(『訓民正音』) as recorded in Korean literature. European scholars` theories on the origin of Hunminjeongeum were based on inputs from Western diplomats and missionaries who had lived in Korea and learnt about Korean literature after Korea had opened its doors to the West. From the research base of diplomats and missionaries in Korea, Gale established his own hypothesis, “the hypothesis of origin from Gojeon(古篆: ancient seal character)` based on Korea`s tradition of using Chinese characters and records in literature instead of the conventional Western `hypothesis of origin from Bumja(梵字: Sanskrit)`.

1. 머리말
2. 재외 유럽 동양학자의 ‘훈민정음 기원론’과 동양학 학술 네트워크
3. 한국개신교선교사의 ‘훈민정음 기원론’과  훈민정음 의 흔적
4.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