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8.114.94
3.138.114.94
close menu
KCI 등재
`실제성` 제고를 위한 표준 한국어 교재 활용의 원리 고찰 - 『세종한국어』의 대화문을 중심으로 -
First-principles Study on the use of Standard Korean Textbooks for Enhancing Authenticity - Based on 『Sejong Korean』 Dialogue -
이윤진 ( Lee Yun-jin )
국제어문 72권 49-76(28pages)
DOI 10.31147/IALL.72.2
UCI I410-ECN-0102-2018-800-000407806

이 글은 국외의 폭넓은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표준 한국어 교재를 사용할 때의 `실제성` 제고 원리에 관심을 두고 전 세계 세종학당의 주교재인 『세종한국어』를 연구 대상으로 삼은 논의이다. 이 글이 갖는 실제성 관련 앞선 연구와의 차별점은, 한국어 교재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교재의 개선점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성 구현을 위한 `교재 활용` 원리를 중심으로 고찰했다는 데에 있다. 실제성은 목표어의 교수·학습에 있어서 교실이라는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학습 및 활동이 `교실 밖 세계`로 나갔을 때 학습자에게 얼마나 의미 있는가와 직결되지만, 실제성의 추구가 곧 언어 교육을 이루는 모든 사항(자료, 내용, 방법 등)들이 실제적이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은 실제성에 대한 기존의 개념을 종합적으로 수용하는 입장에서 이 글이 『세종한국어』의 대화문에 특히 주목한 배경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화문 자체를 익히는 것만으로도 학습자는 `자신의 이야기`를 이끌어내고 목표어의 `실제적 대화`를 접하며 `실제 구어 능력`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되어야 하는데 국외의 한국어 교육 상황과 학습자 변인이 천차만별이라는 점, 두 번째로 한국어 비원어민 화자인 현지인 교사가 이상적인 한국어 교재 활용을 실천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며 특히 다인수의 한국어 교실의 경우 표현 교육 수업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는 문제를 고려해 볼 때 교재 활용 원리 모색은 매우 절실하다. 이 글의 3장에서는 실제성 제고를 위한 대화문의 활용 원리를 크게 `대화 참여자`, `상황 맥락`, `대화 구성과 내용`의 세 가지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는 (1) 한국어 학습자가 스스로를 교재 속 대화 참여자 중 한 사람으로 설정하도록 하여 학습자의 능동성을 유도하고 (2) 대화문의 상황 맥락을 `현지의 한국어 사용 가능 장소`나 학습자의 입장에서 방문 가능성이 있는 한국의 구체적인 장소를 가정하여 학습 동기를 높이며 (3) 대화 구성과 내용을 학습자의 현실과 가장 근접한 어휘나 정보로 교체하여 현실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본고는 이와 같은 사소한 배려와 교육적 의도가 학습자로 하여금 목표어인 한국어로 `홀로서기`를 준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보았다. 이어서 이 글의 4장에서는 교재 대화문의 원형을 유지하면서도 교사가 어떤 변형을 고려했을 때 좀 더 학습자 중심의 교재 활용이 가능할 것인가를 보여주는 몇 사례(식당에서 주문하기, 고향/지역 소개하기)를 논하였다. 실제성 제고를 위한 이상적인 교재의 활용은 교육 현장의 교사에게 치밀한 계획과 보이지 않는 조작을 끊임없이 필요로 한다. 이것이 바로 교재 자체의 중요성 못지않게 교재 활용의 측면이 간과되어서는 안 되는 까닭이며 본고를 통해 이러한 사실이 부각되었기를 바란다. 교육 현장에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실제성 관련 논의가 후고에서도 더욱 폭넓고 심도 있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authenticity of using standard Korean textbooks in the various Korean education field overseas, based on < Sejong Korean > which is the main textbook used worldwide in Sejong Korean language institutes. This article distinguishes itself from previous ones in that it focuses on making efficient use of the textbook to enhance authenticity, rather than analyzing or improving the classroom materials. Authenticity is directly related to the extent that learners find the learned knowledge of target language valuable, in the world outside the classroom. However, pursuing authenticity does not mean that the teaching methods used in the classroom, such as text materials and covered topics, should all be practical. Thus taking a comprehensive perspective on authenticity, this article mainly targets the dialogues of < Sejong Korean >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practicing the dialogues should familiarize the learners with spoken language, improve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therefore induce them to talk about themselves using the learned language, but the environmental, individual variables of the learners around the world are far from being homogeneous. Second, it is no easy matter for the local teachers who are not native speakers of Korean, to make the full use of the textbook especially when there are various restrictions in large classroom settings. In the third chapter of this article, principles on raising authenticity of the textbook dialogue use are suggested in three regards: dialogue participants, situational context and the content of the dialogue. (1) Suggesting the learners to think of themselves as the dialogue participants given in the textbook, to promote active participation. (2) Modifying the situational context of the dialogue to more likely settings that the learners might find themselves in, such as a trip to Korea or a visit to a nearby Korean speaking place. (3) Substituting the vocabulary and information used in the dialogue with the one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the learners, considering individual and regional differences. It is assumed that these small changes sprang from educational intent and consideration for the learners will facilitate them to stand on their own using the target language. In the following chapter, a few examples of dialogues in which relative modifications were made while maintaining the core structure are demonstrated (e.g. ordering at a restaurant, introducing one`s hometown). Ideal use of the textbook to raise authenticity requires the teachers in the field to plan constant and careful coordination. This is the reason why there needs to be no less attention towards the use of the textbooks than the textbook itself. This article accentuates the importance of authenticity issue, and urges extensive and thorough investigation in the same regard.

1. 들어가며
2. 논의의 배경
3. 연구 절차 및 방법
4. 실제성 제고를 위한 한국어 교재 활용
5. 나오며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