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9.255.162
3.149.255.162
close menu
KCI 등재
강경애의 ≪인간문제≫에 나타난 탈식민성 연구
A Post-colonial study of Kang Kyung-Ae`s < In-Gan-mun-je (Human Issues) >.
한명섭 ( Han Myung Seop )
한국언어문화 62권 239-259(21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0369644

강경애의 ≪인간문제≫는 우리 문학사에서 본격적인 장편소설의 시대를 여는 대표적인 작품 이다. 1930년대 활동한 강경애는 간도에서의 자신의 고통스러운 현실 체험을 소설 속에서 형상화했다. 이주민이 겪는 가난과 고통이라는 현실적 체험을 바탕으로 하여 일제강점기 식민지를 극복하기 위한 시도로 소설을 썼다. 강경애의 작품은 사회주의적 리얼리즘 예술의 창작원리에 충실하다는 평을 받지 못하였다. 작가는 현실체험과 현실 극복 의지를 발현하는데 있어 식민지 현실에서 현실의 소재 내지 체험을 작품 속에 기계적으로 반영하지 않았다. 작가의 세계관에 따라 소설 속에 반영하여 반식민주의적이며 탈식민지적 성향을 잘 드러내 보이고 있다. 당시 만주로 이주한 조선 민중들은 민족적 모순과 계급적 모순이 중첩되어 있는 현장에서 온갖 고초와 억압을 견뎌내야 했다. 만주는 이민자의 설움과 식민자의 울분이 뒤섞인 민족적 모순과 계급의 모습을 동시에 지닌 `민중 체험`의 공간이었다. 만주에서의 체험을 통해 작가는 조선 민중의 현실을 잘 담아냈다. 1920~30년대 시기 `가난`과 `빈곤`을 다룬 작품활동으로 동반자 작가로 분류된다. 노동소설로 분류되는 ≪인간문제≫에서는 친일 지주 아래의 소작농이 처한 식민지 상황을 적시하여 소설 속에서 정치하게 묘사한다. 본고에서는 ≪인간문제≫ 에서 친일지주 아래 소작농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전반부 부분을 탈식민주의적 관점으로 분석해보았다. ≪인간문제≫는 인물의 현장성이 두드러진 작품으로 일제강점기라는 현실성에 잘 담고 있는데 이는 작가가 간도에 머물고 있었음에도 식민지 조선이 처한 상황을 적시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방증한다. 작가는 식민지 현실의 빈곤, 가난에 의한 당대적 현장에서도 현실적 상황의 극복과 치유를 강조하는 낙관적인 전망을 보여주고 있다. 식민주체에 대한 강한 저항의지에 기초하여 식민상황을 극복했을 때 낙관적인 전망을 확신하는 태도에서 탈식민성을 발견할 수 있다. 강경애는 프로소설의 공식성을 따르기보다 체험에 입각하여 계급성을 확보하는 자신 만의 글쓰기 방식을 보여주었다. 프로소설들은 계급서사 중심으로 서사 기획을 꾀하면서 애정서사는 배제하거나 결함으로 간주하였다. 그러나 민중의 삶에 애정을 가지고 있는 작가로서는 민중의 애정문제를 포기하지 않음으로써 주체 중심주의에 반하는 탈식민주의적 사고의 일면을 보여주고 있다. 프로문학과 같은 계급서사에서는 계급적 갈등을 중요시하는데 ≪인간문제≫의 경우 계급적 갈등을 직접적으로 제시하고 있지 않으며 매우 평면적이다. 혁명운동에 나서는 노동자들 역시 전사가 되는 데 따르는 고민과 갈등을 보이지 않는다. 이런 이유로 추상적 이상주의로 귀결된 사회주의 리얼리즘이라는 평가를 받고는 있다. 그렇지만 탈식민주의적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민중이 저항의 주체가 되는 것이기 때문에 한 인물의 혁명화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민중이 저항의지를 가지고 저항을 하는 결론을 보여준다면 큰 결함이라고 치부할 수 없는 문제이다. 민중은 하위주체의 개념과 연결할 때 식민주의적 주체에 대한 대항 담론 주체가 되며 탈식민성의 차원에서 또한 의의가 있다.

Kang Kyung-Ae has shaped her painful experience in the Gando in the novel Kang Kyung-Ae`s < In-Gan-mun-je(Human Issues) > is a representative work opens the era of full-fledged novel in our literature. A novel based on the real experience of poverty and suffering experienced by migrants can be understood as an attempt to overcome the Japanese colonial occupation. Kang Kyung-Ae`s work is insufficient due to an intense experience of the colonial reality faithfully reflect the creative principles of socialist realism in art. Kang Kyung-Ae is classified as a companion to her career as a writer experiencing a time of `poverty` 1920s and 1930s. < In-Gan-mun-je(Human Issues) > classified by labor in the novel seems timely to look at the colonial situation facing the peasants. In this paper analyzed the first half part of dealing with the problem of pro-japanese landowners and the peasants in the < In-Gan-mun-je (Human Issues) > with postcolonial perspective. < In-Gan-mun-je(Human Issues) > portrayed the struggle of the workers through a well-organized structure of the opposition pro-Japanese landlord, capitalists and farmers, workers in the colonial period. Realistically it portrayed the appearance and capabilities of the struggle subjects. Kang Kyung-Ae`s novel is characterized by containing well the reality of Japanese colonial rule over the people. It works in the background to the Gando, colonial Korea this situation and go after the same features. The author shows the optimistic outlook continue to highlight the healing despite overcoming poverty and oppression in the colonies. This is based on the strong resistance that does not frustrate the will of the oppressed colonial subjects. Kang Kyung-Ae showed her own writing style that emphasizes experience than follow a formal proletarian literature. Kang Kyung-Ae is based on the experience of her own, it showed a plot when other artists have followed and applied, and an official of the proletarian literature.

1. 서론
2. 식민지 저항운동으로서의 소설과 탈식민성
3. ≪인간문제≫의 서사적 특징과 탈식민성
4.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