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1.231.245
3.21.231.245
close menu
KCI 등재
미국 한국문학 연구의 현단계와 한국현대문학 연구
Complex System and Simplicity - Envisioning Future of Modern Korean Literature through Rereading 2010s American Korean Studies -
최현희 ( Choe Hyon-hui )
반교어문연구 45권 241-263(23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370273

이 글은 2010년 이후 미국 한국학계에 제출된 한국현대문학 관련 연구서 네 권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논의된 저서들은 `문학`으로부터 `담론`으로의 전회라는 대세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 내의 현단계 한국문학 연구와 방법론적으로 비슷한 경향성을 보이고 있다. 즉 한미 양국에서의 연구들은 공히, `문학`을 주어진 대상으로 대하지 않고 `한국현대문학`의 담론적 형성 과정에서 제작되는 것으로 취급한다. 미국발 연구들에서 이 글이 주목한 점은, `한국` 과 `현대`와 `문학` 중 이들이 특히 `한국`의 담론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이다. 이 글에서 분석한 연구들은, 근대 내내 일본과 미국이라는 제국이 지배하는 세계 질서 속에서 제국 측과 끊임없이 접촉하고 교섭하는 과정을 통해서, `한국`이라는 정체성이 어떻게 형성되어 왔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검토한 조희경, 권나영, 박선영, 이진경의 연구는 공히 이론적 객관성이라는 명분하에 연구 대상의 사물화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는 한국 (학)의 주변부성을 고정시킬 수 있는 위험성을 지니고 있다. 이 글에서 검토한 미국산 연구서들로부터 이런 위험성을 유독 강조해야 하는 이유는, 그들이 대상으로서의 `한국`의 특수한위 치성(positionality)에 대한 비판적 거리를 당연시하면서도, 주체로서의 자신들의 위치성은 보편화함으로써, 결국 미국 중심의 세계 체제를 영속화하고 한국의 주변부성을 고정시키는 결과를 낳을 수 있기 때문이다. 세계의 한 부분에 지나지 않는, 본질적으로 비보편적인 `지역 연구(area studies)`가 보편 이론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으려면, 모든 보편 이론이란 언제나 “교조주의” 적 현상 유지의 음모를 담고 있을지 모른다는 점을 경계할 수 있게 해주는, “회의적이며 비판적으로 머무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는 지표로서 끝내 남아 있어야 한다. 이 글은 한국학으로서의 한국현대문학연구가 그러한 지표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미국 한국학계에서 나온 최근 연구들에 대한 비판을 통하여 모색해본 결과물이다.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four recent achievements from modern Korean literature field of American Korean studies, through which one may easily measure how sweeping the aftermath of the linguistic turn has been on both sides of the Pacific, especially in the field of modern Korean literature. The linguistic turn in literary studies, moving focus from literary text or text`s literariness to discursive formation of Literature, has been regarded causing the irreversible transformation in literary studies field in both Korea and the US. Among the three conceptual pillars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merican Korean studies are more concerned about the middle one, Korean, than the other two, unlike Korean Korean studies. In other words, American Koreanists are more focused on how Korean- ness being formed in modern Korean literature under the pressure of Japanese and American imperialist regional and global world order. The four books examined here are Heekyoung Cho`s Translation`s Forgotten History(2016), Nayoung Aimee Kwon`s Intimate Empire(2015), Sunyoung Park`s The Proletarian Wave(2015), and Jin-kyung Lee`s Service Economies(2010). I focus on how their theoretical insistence on objectivism unconsciously results in the reification of the object, in this context modern Korean culture. Faithfully insisting on the inexhaustible complexity of discursive elements and layers of modern Korean literature, they ultimately relegate Korean-ness to the margin of the imaginary field of universal theory. To put differently, they are theoretically self-contradictory in the sense that their keen sense on subject`s positionality is applied only to the object of their studies in their blindness toward their own positionalities.

1. 담론적, 문화적, 비판적
2. 무한한 복잡성의 알리바이
3. 단순한 읽기의 비판성
4.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