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27.148
3.144.27.148
close menu
KCI 등재
미국의 HOPE VI 프로그램을 통해서 본 사회적 혼합정책이 쇠퇴지역의 커뮤니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Can the Development of Mixed Communities Transform the Prospects of Deprived Neighborhoods? Lessons from the HOPE VI Program in the U.S.
경신원 ( Shinwon Kyung )
DOI 10.21189/JKUGS.20.1.10
UCI I410-ECN-0102-2018-300-000365644

1990년대 초반에 시작된 HOPE VI 프로그램(1993-2010)은 미국내에서 실행된 가장 큰 규모의 커뮤니티 활성화 프로그램이다. HOPE VI 프로그램은 사회적 혼합정책을 통해 쇠퇴지역의 주민들이 지니고 있는 사회, 경제적인 문제점들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노력이었다. 이러한 주거지역에서의 사회적 혼합정책은 우리나라에서도 사회적 배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특히, 공공임대주택단지를 중심으로 시도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 혼합정책은 아직까지 그 실효성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동일한 주거지역내에서 소득이 다른 계층간의 갈등은 심화되어 가고 있으며, 빈곤층의 사회적, 경제적 어려움은 나아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혼합정책이 쇠퇴지역의 주민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심도있게 살펴보고자 한다. 논문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첫째, 쇠퇴지역이 지닌 문제점들을 다룬 이론들을 고찰함으로서 HOPE VI 프로그램의 이론적 바탕을 이해하고, 둘째, HOPE VI 프로그램과 관련한 기존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그 성과를 평가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사회혼합정책이 빈곤층에게 의미있도록 실행되기 위한 적용방안을 도출한다.

In the early 1990s, the US government launched its most ambitious community revitalization program ever - the Housing Opportunities for People Everywhere (HOPE VI) (1993-2010) - in order to transform the prospects of deprived neighborhoods through the development of mixed communities. Social and tenure mixing in urban policy have also been deployed in Korea as a means of alleviating serious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particularly in public housing estates. However, such policies are yet to achieve their goals. Conflicts between different social groups have continued to rise and the social and economic hardships seen in deprived neighborhoods have not eased. This research attempts to provide useful insights into addressing the problems of deprived neighborhoods through mixed communities. The paper firstly gives an overview of the theoretical assumptions around the problems of deprived neighborhoods in order to develop a conceptual framework that delineates the rationale for HOPE VI. The paper then aims to tease out the outcomes of HOPE VI using the evidence from existing research including academic literature and policy document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considered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wider debates on social and tenure mixing policies in Korea.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