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89.170.17
18.189.170.17
close menu
KCI 등재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Perception of Family Strength and Subjective Well-being
김혜진 ( Kim Hye-jin ) , 유미숙 ( Yoo Mee-sook )
상담학연구 18권 2호 185-201(17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0360023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고등학교 1, 2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543명이며, 측정도구는 가족의 건강성 척도, 기본심리욕구 척도, 삶의 만족도, 정적정서 및 부적정서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조절효과가 유의한 경우 그래프를 제시한 후 단순 기울기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기본심리욕구와 하위요인, 주관적 안녕감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총점과 하위요인인 자율성, 유능성이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관계성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기본심리욕구, 자율성과 유능성이 낮은 청소년의 경우 가족의 건강성이 높더라도 주관적 안녕감을 낮게 지각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을 증진시키는 데 있어 기본심리욕구 만족 경험의 중요성을 검증하고, 치료적 접근을 제시하는 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perception of family strength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43 first and second grade students in high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They were assessed by the Scale for Measuring Family Strength(SMFS), Korean Adolescent`s Basic Psychological Need Scale(KABPNS), Korean version of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K-SWLS), and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PANA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y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And the results which were significant were analyzed graphically and simple slope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dolescent `s perception of family strength, basic psychological need and subjective well-being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total score of basic psychological need and its sub-factor(autonomy,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s perception of family strength and subjective well-being were significant. In contrast,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related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perception of family strength and subjective well-being was not significant. This results mean that adolescents in low levels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 and its sub-factor(autonomy, competence) can be attributed to low levels of subjective well-being, even though the family strength is high.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t role of family strength and basic psychological need to increase subjective well-being.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