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7.172.68
3.137.172.68
close menu
KCI 등재
정책홍보·정책수단·정책산출 그리고 정부역량이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 국민인식조사를 중심으로
Effects of Policy PR, Policy Tools, Policy Outputs, and Government Capacity on Public Trust in Government: Analysis of National Citizen Survey Data
황창호 ( Chang Ho Hwang ) , 김태형 ( Tae Hyung Kim ) , 문명재 ( M. Jae Moon )
정부학연구 23권 1호 223-254(32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0361106

본 연구는 정부의 정책과정 전반에 활용되는 정책홍보, 정책수단, 정책산출 변수와 정부의 대표적인 역량변수에 해당하는 정부의 재원역량과 공무원역량 변수를 중심으로 정부신뢰와의 상호연계성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통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정부의 정책수단(β=0.158)과 정책산출(β=0.229)에 대한 국민의 긍정적인 인식은 정부신뢰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부의 재원역량(β=0.262)과 공무원역량(β=0.092)에 대한 국민의 긍정적인 인식 또한 정부신뢰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홍보(β=0.040)에 대한 노력은 정부신뢰에는 통계적으로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주요 통제변수로 연령과 소득수준이 정부신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론적 그리고 실무적 중요성이 높은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정부신뢰의 중요한 설명변수로 다루어지지 않았던 정부의 정책홍보, 수단, 산출 변수, 그리고 정부의 재원과 공무원 역량 변수를 중심으로 정부신뢰와의 인과관계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to investigate how policy PR, policy tools, policy outputs, and government capacity affected public trust in government using data collected from a national citizen survey. Results showed that perceptions on policy tools, policy outputs, and government financial/personnel capacity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ublic trust in government. However, policy P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its association with public trust in government. This study also suggested that several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age and incom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ublic trust in government. This study provide useful information of public trust in government by linking policy PR, policy tools, policy outputs, and government capacity to public trust. Such information has not been covered in previous studi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