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9.125.135
18.119.125.135
close menu
KCI 등재
1960년대 한국에서의 “근대화론” 수용과 한국사 인식 ― 고려대와 동국대 학술회의를 중심으로
`Modernization Theory` and Korean Historiography in the 1960s: With Focus on the Conferences of Korea University and Dongguk University
안종철 ( An Jong-chol )
인문논총 74권 2호 43-73(31pages)
UCI I410-ECN-0102-2018-000-000617626

1960년대 한국에서 수용된 “근대화론”은 크게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의미로 나뉘어볼 수 있다. “근대화론”은 각 사회가 처한 현실과 별개로 근대사회로의 도약이 어디서나 가능하다는 점에서 보편성을 추구한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에서도 이 이론은 상당한 주목을 끌었다. 따라서 이 글은 그간 주목하지 않았던 “근대화론”과 한국사 인식과 의 관계를 다룬다. “근대화론”은 한국에서는 고려대 개교 60주년 기념 학술회의와 동국대 개교 60주년 학술회의를 통해 본격적으로 논의되었다. 특히 고려대 회의는 서구사회에서 “근대화론”을 주장하던 학자들도 대거 참석했는데, 그들은 한국 측 학자들과의 대화를 통해서 합의와 차이점을 드러내었다. 이 회의 이후에 한국에서는 한국사시대 구분론의 논쟁이 있었다. 이 논쟁은 한국사의 내재적 발전을 인정하는 위에서, 근대사회로 진입하는 계기를 한국사의 특정 시점에서 찾고자 한 점에서 “근대화론”의 한국적 맥락화라고 할 수 있다. “근대화론”의 수용 과 한국사 인식과의 관련성을 통해서 근대한국사의 특징이 더 분명히 드러날 것이다.

`Modernization theory` which was introduced into Korea in the 1960s consists of economic, social, and political dimensions. Based on the position that all societies are able to make the leap to modern society, this theory aimed to seek a universal framework that could be applied to the entire world, regardless of the specific situation of each society. This theory was viral and popular in Korea in the 1960s. This paper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theory and studies on Korean history, an area that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from scholars. In Korea, modernization theory was widely discussed at two important conferences: the 60th Anniversary of School Founding Conference in Korea University (1965) and Dongguk University (1966). Particularly, several modernization theorists from western societies participated in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at Korea University. Through the diverse exchanges of opinions that took place, the conference illuminated both the common ground and differences between western scholars and their Korean counterparts. After these conferences took place, the theory came to be projected into Korean discourse on periodization in Korean historiography. Debate centered on identifying the impetus of modernization from the viewpoint of Korean history, which would allow a recognition of the internal development of Korean history. In other words, the debate was a internalization of the modernization theory. It is therefore argued that modern Korean historiography can be better understood by examining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modernization theory` and Korean history research

1.머리말
2. 근대화론의 특징과 제3세계
3. 한국에서의 “근대화론” 수용과 한국사 인식
4.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