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0.198.43
3.140.198.43
close menu
KCI 등재
고전문학의 현대적·국제적 투영
Contemporary and International Projection of Classical Literature: Introduction of Cases and Development of Vision and Media
아라키히로시 ( Araki Hiroshi )
UCI I410-ECN-0102-2018-800-000443335

본고는 `미디어 시대에 있어서의 일본 문학과 대중문화`라고 하는 테마로, 일본 고전 문학 연구의 시점에서, 몇 개의 사례를 제시하여, 사례 연구를 한 것이다. 제1장에서는 지금까지의 필자의 연구 이력과 대중문화 연구와의 관련성을 제시하면서, 대중문화 연구에 있어서의 국제적 시점의 중요성과 고전에서 현대로의 투영(공동 연구 「Projeciting Classicism」의 입각점이다)의 문제를 지적했다. 제2장에서는 그 실례로서 파리와 방콕에서 견문한 일본의 고전적 문화에 대한 현대적 투영의 양상을 소개했다. 제3장에서는 반대로, 고전 연구가 현대사회에 발신할 수 있는 예로서 『방장기(方丈記)』집필 800년의 이벤트를 둘러싼 사례(스튜디오 지브리(STUDIO GHIBLI)의 기획전, 영화 『몬스터 클럽(モンスタ一ズクラブ)』의 구상에 있어서의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와 『방장기(方丈記)』의 영향관계 등)에 대해 분석했다. 제4장에서는 고전 연구 자체가 근현대 및 국제적 시점으로부터 일본 문화 연구로 환류 할 수 있는 사례로서 「얼굴」에 주목해, 보지(寶誌)像의 「얼굴」의 도상학과 그 형상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문화 편차에 언급했다. 관련되는 문제로서 달에 눈이나 코를 그리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따라서 서양 문화와 동양 문화를 구분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기술하였다. 마지막 제5장에서는 이제까지 언급한 시각 문화나 영화 등과 고전 연구와의 관련성을 근거로 해서, 전후, 야나기타 구니오(柳田國男)나 국문학이, 웃음이나 서민문화 등을 중요한 대상으로 하면서, 점령기부터 1960년대 이전 기간 동안, 그 연구 자세와 실제의 대중 미디어문화 사이에는 의외의 거리감이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향후의 연구 가능성을 제언했다.

This study carried out the case study under a theme of `Japanese literature and popular culture in the media age`, from the research perspective of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by presenting several cases. Chapter 1 presented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history of this researcher and studies on popular culture; it pointed out the importance of the international viewpoint in the study on the popular culture and projection from classicism to modernism(the scaffold of collaborative research “Projecting Classicism”). Chapter 2 introduced, for its examples, the aspects of modernistic projection of Japanese classical culture, which this researcher experienced in Paris and Bangkok. On the contrary, Chapter 3 analyzed, for the example that classical research could send to the contemporary society, the case of events about 800 years since Hojoki was written(the exhibition of STUDIO GHIBLI and the effect relationship between Natsume Soseki and Hojoki in devising the film Monsters Club). Chapter 4 paid attention to Face, as an example that the classical research itself could go back from the modern and contemporary and international viewpoints to the research of Japanese culture; it mentioned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China and Japan about iconology and the image of Face of the Baozhi figure. Regarding this, this chapter described possibility that could classify the Western and Oriental culture according to whether they draw eyes and the nose in the moon or not. Lastly, Chapter 5 pointed out the fact that there has been unexpected distance between the research attitudes and the actual popular media culture from the occupied era until 1960s after the war, as Yanagita Kunio or Japanese literature used laughter and popular culture as the important objects based on correlation between visual culture or films and classical research mentioned above; it suggested possibility of the follow-up studies.

1.これまでの硏究履歷と大衆文化硏究とのつながり
2. 海外での見聞·事例から示唆されること
3. 古典硏究の側から發信しうる事例
4. 古典硏究の國際的·現代的展開の可能性
5. 大衆文化とのメディアミックス的視点が提起するケ一ススタディ
6. おわりに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