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9.30.232
3.19.30.232
close menu
KCI 등재
대인관계 향상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고등학생의 친구관계 인식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 Interpersonal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on the Peer Relationship Recognition and Self-Concept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심은정 ( Shim Eunjung ) , 박승희 ( Park Seung Hee )
UCI I410-ECN-0102-2018-300-000598056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자들이 개발한 `대인관계 향상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고등학생의 친구관계 인식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시 소재인문계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 18명이며, 사회성 지수, 학년, 성별 등의 조건을 중심으로 일대일 짝짓기 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9명씩 배치하였다. 대인관계 향상 프로그램은 공유하기, 협동하기, 타인 존중하기, 타인에게 민감하기, 상황에 맞게 행동하기라는 5가지 주제로 구성되었고, 학교 직업교과 시간을 이용하여 주 3회씩 총 22회기에 걸쳐 실시되었다. 두집단 간 친구관계 인식 및 자아개념의 변화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집단별 사전·사후 점수 차이에 대한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대인관계향상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고등학생의 친구관계 인식 및 자아개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되어 온 대인관계 기술 관련 프로그램의 교수내용을 보다 다양화 및 정교화하고, 학교 교육과정 내 직업교과를 활용해 교수하여 현장에서의 실천 가능성을 높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끝으로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Interpersonal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IREP) on the peer relationship recognition and self-concept of the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n inclusive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8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experimental group of 9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at had participated in the IREP w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of 9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rogram was carried out with 22 sessions, 3 times a week in a vocational class time. The Korean Inventory of Peer Relationships(KIPR) and the Self Concept Inventory(SCI) were used to measure the students` peer relationship recognition and self-concept. The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the students` peer relationship recognition and self-concept between two groups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s t-test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IREP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peer relationship recognition and self-concept of the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iscussion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