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4.63.87
18.224.63.87
close menu
KCI 등재
발달장애 성인과 부모를 위한 미래계획 프로그램 연구동향 및 프로그램 특성 고찰
A Literature Review of Future Planning Program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김유리 ( Kim Yu-ri )
UCI I410-ECN-0102-2018-300-000598061

본 연구는 발달장애 성인과 부모를 위한 미래계획 프로그램 관련 국내외 선행연구들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계획 프로그램 개발 및 향후 연구과제에 주는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90년부터 발표된 국내외 선행연구 총 11편을 선정하였고, 선정된 논문의 전반적인 연구동향(연구 참여자, 연구설계, 자료수집방법, 종속변인) 및 프로그램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외논문에 비해 국내논문의 수는 상당히 적었으며, 중도 및 최중도 발달장애 성인을 위한 프로그램도 극히 소수였다. 둘째, 미래계획 프로그램의 내용은 `삶의 영역에 대한 정보`, `유용한 자원 이해`, `미래계획`, `자기결정`을 포함하고 있었으나 주로 몇 가지 삶의 영역(예: 주거, 재정)에 대한 정보에만 치중되고 부모 프로그램의 경우 미래계획 수립 과정은 자주 생략되었다. 셋째, 이러한 내용들은 강의를 통해 주로 교수되었으며 현장체험이나 기관방문, 또래지원(또래교수, 자조집단)은 제한적으로 활용되었다. 넷째, 미래계획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삶의 영역에 대한 지식이 주로 평가되었으며, 실제로 미래계획을 수립하고 성취하였는지 여부를 측정한 연구는 소수였다. 또한 미래계획 프로그램의 측정은 주로 자체 개발한 검사도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표준화검사도구, 면담, 관찰을 통한 자료수집은 제한적으로 실시되고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발달장애 성인과 부모를 위한 미래계획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된 시사점이 논의되었으며 후속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도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review literature on future planning programs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A total of 11 stud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participants, study designs, data collection, and dependent measures. In addition, the studies were systematically reviewed in terms of program content and instructional methods.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Korean studies wa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ies and there were few programs for adults with severe and profou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cond, future planning programs covered knowledge on domains of persons` life, resources, future planning, and self-determination. However, the programs were more likely to focus on a few domains of person`s life and few parent program taught to make a plan for future. Third, lecture was the primary instructional strategy employed in the programs. However, practical experience on-site and peer supports(peer tutoring, support groups) were used in a small number of the studies. Finally, while existing studies often relied on informal measures for data collection, standardized instruments, interviews, or observations were less likely us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planning programs and research were discussed.

I. 서 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논 의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