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212.145
3.144.212.145
close menu
KCI 등재
화행으로 살펴본 경도 지적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of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seen in Speech Acts
김화수 ( Kim Wha-soo ) , 엄윤지 ( Eom Yun-ji ) , 이근용 ( Lee Geun-yong )
지적장애연구 19권 2호 99-119(21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0598081

본 연구에서는 경도 지적장애 학생의 화행 이해능력과 그에 따른 오류유형을 알아봄으로써 경도 지적장애인의 의사소통 문제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도에 위치한 대학교 평생교육원의 경도 지적장애 학생 20명(20~ 25세)에 대한 화행이해 능력을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학생 20명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경도 지적장애 학생은 직접화행이해 능력에서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학생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둘째, 경도 지적장애 학생은 간접화행 이해능력에서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학생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간접화행 이해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두 집단은 간접화행 문장 유형에 따른 이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경도 지적장애 학생이 일반 학생과 비교하여 의문문보다 평서문에서의 이해점수가 더 낮게 나타났다. 넷째, 두 집단 간 간접화행 이해 오류 유형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간접화행 이해 과제에서 경도 지적장애 학생의 오반응 빈도가 일반 학생보다 높았으며, 오류 유형(문자 그대로 해석한 오류, 맥락의 일부를 사용한 추론적 오류)에서도 두 집단 간에 차이를 보였다. 언표내적 행위에 대한 오류 빈도 순위에서는 두 집단 모두 진술과 청유, 명령 순으로 오반응 빈도가 높았다. 특히 진술 화행의 경우 학생 집단이 오반응 빈도가 높았으며, 맥락의 일부를 사용한 추론적 오류를 선택한 빈도 역시 높았다. 이러한 직, 간접화행 이해에 대한 경도 지적장애 학생의 결과는 자기 조절이나 자기 결정, 독립생활에 대한 교육 이외에도 직장생활 가운데 일어날 수 있는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더 면밀히 접근해야 함을 시사한다. 더 나아가 지적장애 학생들의 언어교육에서의 구어적 능력뿐만이 아니라 타인과의 의사소통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통합적 의사소통 지원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tried to approach the problems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ir communication by studying the understanding ability of the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he type of error accordingly. For this purpose, we compared 20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20 ~ 25 years old) at K Privince for Continuing Education with the results of 20 students who had same language 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scores than those of normal students who matched language age in direct speech comprehension ability. Second,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general students on language age who matched in the understanding ability of indirect language, and it was found that they had difficulty in understanding indirect language. Third, the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according to the types of indirect sentence patterns, and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showed lower scores on the pseudo-sentence than the questioned sentences.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the types of errors of understanding the indirect speech between the two groups, the error frequency of recognition of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wa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students in the understanding of indirect speech, And the reasoning errors used. In the error frequency ranking for intraspecific behavior, the frequency of false positives was high in both groups in the order of `statement`, `censorship`, and `order`.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testimonials, the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had a high error frequency of recognition, and the frequency of choosing a reasoning error using part of the context was also high. The results of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adherence to the understanding of direct and indirect speech suggests that, in addition to self-control, self-determination, and independence education,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communication difficulties that may arise during work life. In addition, we discussed the need for integrated communication support that enables communication with other people not only in spoken language ability but also in other language skills.

I. 서 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