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1.129.19
18.221.129.19
close menu
KCI 등재
특수학교 교사의 주관적 삶의 질에 대한 인식
Subjective Quality of Life in Special Education Teachers
박경옥 ( Park Kyung Ock ) , 김지연 ( Kim Jiyeon )
지적장애연구 19권 2호 121-145(25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0598096

본 연구는 특수학교에서 근무하는 특수교사의 주관적 삶의 질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국내 특수교육 및 특수교사 업무 특성을 반영하여 제작된 `특수교사의 삶의 질` 척도를 활용하여 전국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91명의 응답을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삶의 질을 구성하는 잠재변인으로서의 하위영역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하위영역의 잠재평균 및 개별 측정문항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지표다중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교사와 남교사의 전체 삶의 질 만족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여교사가 남교사에 비해 하위영역 중 `전반적 만족`이 높았다. 둘째, 저연령 교사가 고연령 교사보다 전체 삶의 질 만족이 높았고, 하위영역인 `전반적 만족`, `직업 자긍심`, `사회적 지지`의 인식이 높았다. 셋째, 급여 만족도가 높은 교사가 삶의 질 전체에 대한 인식 및 하위영역 `전반적 만족`, `직업 자긍심`, `사회적지지`, `직업 환경` 만족이 높았다. 넷째, 학교급별의 특수교사의 삶의 질 만족에 차이는 없었다. 다섯째, 보직 교사는 전체 삶의 질 인식과 하위영역 `사회적지지`에서 낮은 만족감을 나타내었다. 여섯째, 담당학생의 장애 정도의 인식 차이에 따른 특수교사의 삶의 질 전체, 각 하위영역 및 세부 문항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erceptions of subjective quality of life in teachers who work for special schools. Using a sample of 219 special education teachers across the nation that was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utilized to confirm five-factor structure of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scale in the targeted population, and Multiple Indicators and Multiple Causes modeling was then used to examine invariance of factor means and indicator intercep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of the quality of life between female and male teachers, but the satisfaction of female teachers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teachers in the sub-domain of General Satisfaction. Second, younger teachers were more satisfied in General Satisfaction, Job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s well as overall quality of life than older teachers. Third, teachers with higher satisfaction for the current salary highly satisfied in sub-domains of General Satisfaction, Job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Job Setting as well as overall quality of life. Fourth,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of the quality of life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Fifth, department head teachers showed low satisfaction in overall quality of life and the domain of social support. Final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the degree of students` disability by teachers.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