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88.40.207
18.188.40.207
close menu
KCI 등재
교육대학교 신입생들의 갈등에 관한 인식 양상 연구
Exploring Patterns of Pre - service School Teachers` Conflict Recognition
김재봉 ( Kim Chaebong )
UCI I410-ECN-0102-2018-700-000598492

이 연구에서는 Berko 등이 제안한 설문지를 활용하여 갈등에 대한 인식의 양상을 탐색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교 신입생들은 갈등에 대해 “회피>통합>타협>경쟁>조화”와 같은 인식의 양상을 보였다. 또한 Berko 등이 제안한 갈등 유형과는 별도로 “융합형”이 새롭게 발견되었다. 둘째, 혈액형에 따른 인식의 양상 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다. 하지만 남녀 구별 없이 처리할 경우 인식의 양상은 “회피>통합>타협>경쟁>조화”와 같은 양상을 보인다. 셋째, 대화 시간과 갈등 반응 유형 간의 상관관계를 탐색했을 때 대화시간이 많을수록 조화형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반응을 보였다. 넷째, 대화 형태와 갈등 반응 유형 간의 상관관계를 탐색했을 때 토의형토론이 통합형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반응을 보였다. 다섯째, 인지적 측면에서는 일반적인 지적 능력을, 정의적 측면에서는 동기를 인식의 근거로 삼고 있다. 또한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을 모두 고려했을 때 인지적 측면보다는 정의적 측면을 우선하여 갈등 양상을 인식하는 근거로 활용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patterns of conflict recog-nition which has made questionnaire by Berko etc..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school teachers` realized the aspects of conflict as “avoidance > integration> compromise> competition> accommoda-tion”. Berko etc. suggested five patterns. But the new pattern of conflict is discovered in this research. This type is another. We name it “conver-gence type”. Second,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aspects by blood type is mean-ingless statistically. But the aspects of conflict recognition without distinc-tion of sex are exposed to “avoidance > integration > compromise > com-petition > accommodation”. Third, when we explored the correlation between talk time and con-flict response patterns, the more we have talk time, the more we have meaningful accommodation pattern statistically. Forth, when we explored the correlation between talk patterns and conflict response patterns, the debate of discussion pattern has statistically meaningful response to accommodation pattern. Finally, when the pre-service school teachers` judge the aspects of con-flict, they are based on a general intellectual ability in cognitive perspective and a motivation in an affective perspective. Also when we consider both cognitive perspective and affective perspective, they judge the aspects of conflict recognition which motivation take priority over cognition.

I. 머리말
II. 인성 교육에서의 갈등의 수준 및 유형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및 논의
V.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