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7.81.240
18.117.81.240
close menu
KCI 등재
자유학기의 수업 운용과 의사소통 활동에 대한 국어 교사의 인식 연구
How do the Korean Teachers Recognize the Free Semester Operation and the Communication Activity
전은주 ( Jeon Eunju )
UCI I410-ECN-0102-2018-700-000598523

이 연구에서는 자유학기를 담당했던 국어과 교사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의 국어과 및 자유학기 활동의 구성과 자유학기제 수업으로 인한 국어과 교수-학습 문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 자유학기 수업 내 학습자의 구어 의사소통 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자유학기제 하에서 교과로서 국어과 수업에서는 융합 연계활동보다 진로 연계 활동을 더 많이 하고 있으며, 교과 간 융합 연계 활동보다는 자유학기 활동으로서 국어과에 관련된 활동을 더 활발히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국어 교사는 자유학기제 수업을 하면서 학습자의 의사소통 수행 기회가 증가하였고, 학습자의 의사소통 수행 능력이 향상하였으며, 의사소통 학습의 필요성이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교사의 인식을 전은주(2017)의 학습자 대상 연구와 비교해 본 결과, 면담 수행 기회 증가, 토론 능력 신장, 토의 능력 신장, 면담 능력 신장, 대화 능력 신장의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이 밖에 국어 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학습자의 의사소통 수행 시 겪는 어려움 혹은 문제점에 대한 반응을 분석해 본 결과 토론, 토의, 발표, 대화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과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국어과 의사소통 교육의 개선 방향을 내용, 방법, 평가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Korean teachers in charge of the free semester on the issues related with the Korean teaching-learning lessons. In addition, it also investigated how the teachers recognize speech communication activities during free semester period. The result shows that during Korean classes as a subject, more time is spent on the career-related activities than on the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activities. For free semester activities, more time is spent on the activity related to Korean subject, rather than inter-subject convergence activities. Furthermore, Korean teachers evaluate that, due to the free semester, students are given increased opportunity for communication, have improved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feel the necessity of learning communica-tion skills. To compare the teachers` response with that of the learners (Jeon, 2017),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in terms of increased opportunity for interviewing, and improved capacity of debate, discussion, interview and conversation. Besides, the teachers` recognition on the student`s response to the difficulties and problems encountered during communication was remarkably different from the responses by the students themselves in the fields of debate, discussion, presentation and conversation. The present study proposed a way to improvement for the Korean classes in terms of contents, method, and assessment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

I. 서론
II. 자유학기 수업 의사소통 활동을 바라보는 국어과 교수-학습적 전제
III. 자유학기 수업 운용과 의사소통 활동에 대한 국어 교사의 평가
IV. 국어과 의사소통 교육의 개선 방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