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9.236.199
18.219.236.199
close menu
KCI 등재
<혜통항룡(惠通降龍)〉의 치병(治病)과 구제(救濟)
A Study on Cure and Relief of
이강엽 ( Lee Kang-yeop )
문학치료연구 37권 39-71(33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150451

이 논문은『삼국유사』「신주(神呪)」편의 <혜통항룡〉에 나타난 질병의 퇴치 과정을 통해, 병자의 병을 치료하면서 치병자와 주변 인물, 나아가 중생을 구제하는 문제에 대해 다루었다 첫째, <혜통항룡〉의 서사구성의 상당부분이 독룡(毒龍)의 퇴치에 할애되고 있으며, 첫머리의 출가 이전의 이야기와 맨 끝에 있는 혜통의 불교사적 의미가 맞물린다. 혜통은 불필요한 살생에서 문제를 인지하고 스승을 찾아 해결책을 찾은 후 스스로 문제를 풀어나가지만, 독롱의 퇴치로 인해 더 심각한 문제를 드러냄으로써 치병을 넘어선 조치가 필요함을 일깨워준다. 둘째, <혜통항룡〉은 치병에 그치지 않고 중생을 구제하고 깨침을 얻는 데까지 나아가고 있다 우선, 세 차례의 치병(治病)이 등장하면서 단계적인 진화를 보인다. 가장 낮은 단계에서는 병을 병자의 밖으로 내모는 데에 중심을 두다가, 다음 단계에서는 병자의 삶에 관심을 두면서 병의 퇴치와 함께 삶을 반성하게 하고, 맨 마지막 단계에서는 병마로 지목되는 대상을 찾아 위무하여 원을 풀고 화합하게 한다. 다음으로, 치병 과정에서 치병자 혜통 자신도 변하고, 나아가 그의 스승 무외나 그에게 도움을 청했던 정공 또 한 변화한다. 혜통은 처음 수달의 살생에서 촉발된 문제의식을 놓치지 않고 자기 병통을 씻어내기에 이르렀다. 무외는 변방 사람을 제자로 거둘 수 없다는 자기모순을 벗어나 금세 가르침을 베풀고 밀교의 전파에 성공한다. 정공은 치병에 성공함으로써 오만함을 보였다가 해원(解寃)한다. 셋째, <혜통항룡〉은 밀교사(密敎史)에서 혜통이 차지하는 위상을 드러내 보이면서 전체 주제에 맞닿게 짜여 있다. 밀본이 치병에, 명랑이 호국에 중점을 두었다면, 혜통은 치병을 하면서도 결과적으로 호국에 연결되도록 한 인물이다. 또, 초기 밀교에서 강조하던 현세이익적인 성격을 넘어섬은 물론, 신라 지역 이외에까지 밀교의 깨침을 전해 사람을 구제하고 만물을 교화하는 이상에 근접했다. 이처럼 <혜통항룡〉에서는 치병 행위를 중생 구제와 구도의 문제로까지 확대하면서 상생(相生)과 선린(善離)의 기치를 높여주는 작품이다.

This paper addresses the problems of a Healer, the people surrounding him in the course of curing patients of their diseases, and the relief provided to mankind through the process of disease termination specified in〈Buddhist Monk Hyetong`s bringing Dragon into Submission〉in book 「Mystical Charm(神呪)」, 『Samgukyusa』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Buddhist Monk Hyetong`s bringing Dragon into Submission〉,can be read as three parts. A considerable part of the initial descriptive co比position of it is devoted to the execution of a venomous dragon. Here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n apparent connection between the story before Hyetong became a Buddhist in and the meaning of his very existence in terms of Buddhist history. The second part provides relief to mankind and enlightens them by not letting them settle just for the remedy of diseases. In the initial phase the〈Buddhist Monk Hyetong`s bringing Dragon into Submission〉 focuses on dispelling a disease from a patient and in the next phase, it helps the patient reflect on their life along with disease extermination with the focal point being the patient`s life. In addition, in the last phase, it gets the disease to vent its spite and to be harmonized with the patient by looking for and pacifying the object pointed out as the disease. Then, in the process of remedying the disease, the curer Hyetong himself undergoes a transformation, and his teacher Muwoe also known as Jeonggong, who asked Hyetong for assistance, is also transformed. In the third and final part the〈Buddhist Monk Hyetong`s bringing Dragon into Submission〉connects the entire theme while revealing the status of Hyetong in Esoteric Buddhism history. If Milbon put his focus on remedy for diseases, and Myeongrang on the defense of fatherland, then Hyetong is the figure who while curing a disease connected it to the defense of the fatherlan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