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9.230.44
3.149.230.44
close menu
KCI 등재
<겐지 모노가타리>(원씨물어(源氏物語)) 로쿠조미야스도코로의 `모노노케` 서사 - 생령 · 사령의 발현 요인과 진혼, 그리고 문학치료 -
Rokujomiyasudokoro`s “Mononoke” narrative in < Genjimonogatari >
이미숙 ( Lee Mi Suk )
문학치료연구 37권 255-290(36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150522

본고는 <겐지 모노가타리>에 형상화된 로쿠조미야스도코로의 `모노노케` 서사에 주목하여, 로쿠조미야스도코로가 생령과 사령으로 발현한 요인 및 그 과정, 그리고 진혼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모노노케는 생령과 사령으로 나뉠 수 있는데, 로쿠조미야스도코로는 생령과 사령으로 모두 발현된 여성이며 생령과 관련된 서사는 <겐지 모노가타리>에서 처음 형상화되었다. `모노노케` 서사는 사람의 마음에서 발현된 실재하지 않는 것으로 볼 것인가, 실재하는 것으로 볼 것인가 하는 두 가지 관점으로 나뉘는데, 본고에서는 모노노케가 된 여성을 주체로 한 서사를 적극적으로 평가하는 입장에서 실재하는 이상 현상으로 보았다. 전 동궁비라는 높은 신분과 긍지에도 불구하고 히카루겐지의 애인이 된 로쿠조미야스도코로가 생령이 되어 히카루겐지의 정처인 아오이노우에게 빙의된 것은 히카루겐지라는 사랑하는 남성에게 이해받지 못한 데서 기인한 남성에 대한 원망과 더불어, 세상 사람들의 비웃음거리가 된 데 대한 자신에 대한 모멸감 때문이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세상을 뜬 지 18년 후 로쿠조미야스도코로가 히카루겐지의 일생의 반려인 무라사키노우에와 온나산노미야에게 사령으로 빙의하게 된 직접적인 계기는 히카루겐지가 무라사키노우에와 함께 나눈 정담에서 언급된 로쿠조미야스도코로에 대한 무신경한 발언 때문이었다. 두 사람의 어긋나기만 하였던 내밀한 관계의 본질이 타인에게 발설되어 사람들의 입길에 오르는 것을 가장 수치스럽게 여겼던 로쿠조미야스도코로의 성정을 건드렸던 것이다. 로쿠조미야스도코로의 모노노케는 실질적인 일부다처제라는 혼인제도 속에서 신분과 자부심이 높은 한 여성이 남성과의 관계 속에서 배태된 모멸감과 남성에게 자신의 고뇌를 이해받을 수 없었던 마음속 어둠에 의해 생령으로 발현하였고, 죽어서도 그 `마음의 집착을 버리지 못하고 사령으로 발현하였다. 그리고 그 사령은 고명딸의 정성어린 추선공양을 통해 진혼되고 성불한 것으로 추정된다. < 겐지 모노가타리> 내에서 이러한 로쿠조미야스도코로의 `모노노케` 서사가 지닌 내적 의미로는, <겐지 모노가타리> 내적 전개를 추동(推動)하고 히카루겐지 이야기인 정편을 종결시키는 계기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 남성과 관계를 맺는 여성 등장인물의 삶과 내면에 천착하는 `여성문학`(女物語)인 <겐지 모노가타리>의 본령이 로쿠조미야스도코로의 생령·사령 서사를 통해 형상화되어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로쿠조미야스도코로의 `모노노케` 서사는 <겐지 모노가타리>의 주된 독자였던 헤이안 시대 귀족 계층의 여성들의 마음속에 내재된 고뇌를 대신하여 표출해줌으로써 카타르시스 효과를 불러일으키기도 하였고, 자칫하면 모노노케가 될지 모르는 자신의 마음속 어둠을 다스리는 반면교사가 되기도 하였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로쿠조미야스도코로의 `모노노케` 서사는 그 시대 여성들이 실질적인 일부다처제 하의 불안정한 부부관계와 세상 사람들의 시선 속에서 자신이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어떻게 처신해야 하는지, 어떻게 자신의 욕망을 조절해야 하는지를 생각하게 하는 `문학치료`의 기능 또한 담당하였다고 생각하며, “인간관계의 형성과 위기와 회복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삶의 문제를 논의의 핵심에 떠올리고자 하는” 서사에 부합한다고 생각한다.

This article focuses on Rokujomiyasudokoro`s narrative “Mononoke”, which is embodied in < Genjimonogatari >, and examines the cause, process and requiem of Rokujomiyasudokoro`s transformation into Ikiryo (soul of the living) and Shiryo (soul of the dead). Mononoke is divided into Ikiryo and Shiryo, and the narrative on Ikiryo was first embodied in < Genjimonogatari >. Rokujomiyasudokoro is the female protagonist who transforms into Ikiryo and Shiryo. The narrative “Mononoke” illustrates two different perspectives of whether to view it as an unreal existence that is embodied in human soul or a real existence. This article sees Mononoke as a real, abnormal phenomenon. The protagonist of the narrative is a woman who has become Mononoke. Rokujomiyasudokoro`s “Mononoke” exists as Ikiryo due to her humiliating relationship with a polygamous man and the darkness in her character. She also exists as Shiryo as she cannot dispel her obsession even after her death. Shiryo is assumed to overcome her chagrin through her only daughter`s meticulous memorial ceremony. One of the deep interpretations of Rokujomiyasudokoro`s narrative “Mononoke” in < Genjimonogatari > is that it leads the development of < Genjimonogatari > and triggers the conclusion of the main plot of Hikarugenji`s story. The other interpretation is that the essence of < Genjimonogatari >, which is a female-centric literature exploring the life and inner side of female characters who form relationships with men, is embodied in Rokujomiyasudokoro`s narratives on Ikiryo and Shiryo. In addition, Rokujomiyasudokoro`s narrative “Mononoke” plays a cathartic role by expressing the inner agony of noble class women in the Heian Period. Those women were the main readers of < Genjimonogatari >, which may have lead them to subdue their inner darkness that could manifest itself as Mononoke. Therefore, Rokujomiyasudokoro`s narrative “Mononoke” also offered literary therapy, which helped women in that era to understand how to live, conduct themselves, and control their desires in an unstable, polygamous marriage, and people`s attention around the world. Further, the narrative is therapeutic as it aims “to bring the problems of life to the core by focusing on the formation, crisis, and recovery of human relationship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