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166.98
18.118.166.98
close menu
KCI 등재
다문화 결혼이주여성, 그녀들 공연의 의미와 과제 - 성동구 결혼이주여성 공연 사례 <마마>에 기반하여
Marriage Immigrant Women`s Performance, It`s Significance and Practice - Focused on `Mama`, the Performance of Marriage Immigrant Women in Seongdong-gu
김숙현 ( Kim Suk Hyun )
한국연극학 62권 35-67(33pages)
UCI I410-ECN-0102-2018-600-000610776

초국적 이주는 동시대 보편의 현상이다. 한국 역시 다문화사회로의 진입이 공식화 된지 이미 오래이다. 하지만 국내 `다문화`의 현재는 다문화가족으로 귀결되는 협소한 개념이자 다문화가족을 관리하는 통치담론이며, 그 저변으로 이주민 가족을 비하하는 우리 안의 무/의식적 편견과 차별을 드러내는 지칭어가 되기도 한다. 한국사회에 있어서 결혼이주여성들은 정착 가능한 최초의 이주민으로서, 가족을 구성하며 사회재생산을 담당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들을 위한 복지정책이나 문화정책적 사업의 일환으로 문화다양성을 표방하며 지원되는 공연들 또한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마주하는 현실은 열린 개념의 `다문화`와는 상반되는 단일주의 가부장적 젠더 이데올로기의 재현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여러 총합적인 문제들을 내장한 결혼/이주/여성들의 연극에 대한 예술/미학적 사유와 모색의 한 계기를, 결혼이 주여성들의 실제 공연 사례 <마마>에 기반하여 탐구하고 있다. 한국의 특수한 사회현상으로서의 다문화, 그 핵심에 있는 결혼이주여성들의 공연이 지향할 바는 무엇이며 접근은 어떠해야 하는지를 탐색함은 물론, 연극을 통한 프로그램 과정과 공연이 갖는 의미를 묻고, 연극적 경험과 창조성의 발현이 어떻게 기성의 감성을 분할하여 정체성/정치성의 재구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논하고 있다. 또한 동시대 커뮤니티의 의미를 재고하여 극단 공동체의 특성을 귀속과 디아스포라적 공간 `사이`에 위치시키며, 공동체적 리듬과 정동의 상호관계와 그로부터의 정동적 개입과 감응의 윤리의 발현과 의미를 살피고 있다. 그 결과 이와 같은 삶의 리허설로서의 공연 미학의 위치를 `어플라이드 씨어터(applied theatre)`와 `커뮤니티 퍼포먼스(community performance)`의 컨텍스트로 호명하고 있다.

Transnational migration is a phenomenon of contemporary universalism. Korea has long been in the process of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However, the present situation of domestic `multiculturalism` is a narrow concept that results in a multicultural family, and it is a ruling discourse that manages a multicultural family, and it also becomes a tongue that reveals the unconscious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in our inner self. In Korean society, married immigrant women are the first migrants to settle down, and they play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a family and in charge of social reproduction. As a result, welfare policies and cultural policy projects for them are being promoted as well as supporting cultural diversity. However, the reality facing the mainstream is the representation of monistic patriarchal gender ideology which is contrary to the open concept of `multiculturalism`.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the artistic/aesthetic reason and search for the methodologies of the theatre with the marriage immigrant women based on the actual performance example `mama`. In addition to exploring what should be the approaches to multiculturalism as a special social phenomenon in South Korea, marriage migrant women at the core, and how to approach them, through the significance of drama program process and performance, It discusses how the manifestation of creativity can affect the reconstruction of identity/politics by embodying the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In addition, we reconsider the meaning of contemporary community and place the characteristic of multicultural theatre company between `belonging` and `diaspora` space, and the mutual relation and effect of community rhythm and affect lead to the result of affective intervention and `ethics of affect`. As a result, the performance aesthetic as a rehearsal of life is referred to as the context of `applied theater` and `community performance`.

1. 서론: 한국의 `다문화`와 결혼이주여성들
2. 결혼이주여성들의 공연을 위한 접근과 지향: 성동구 결혼이주여성들 공연의 실천 사례를 통해
3.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