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8.200.66
3.138.200.66
close menu
KCI 등재 SCOPUS
LPS로 유도된 RAW 264.7 cell과 마우스 귀 부종 모델을 통한 쌍발이 모자반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Sargassum patens C. Agardh Ethanol Extract in LPS-induced RAW264.7 Cells and Mouse Ear Edema
김민지 ( Min-ji Kim ) , 김민주 ( Min-ju Kim ) , 김꽃봉우리 ( Koth-bong-woo-ri Kim ) , 박선희 ( Sun-hee Park ) , 최현덕 ( Hyeun-deok Choi ) , 박소영 ( So-yeong Park ) , 김지현 ( Ji-hyun Kim ) , 장미란 ( Mi-ran Jang ) , 임무혁 ( Moo-hyeog Im ) , 안동현 ( Dong-hyun Ahn )
UCI I410-ECN-0102-2018-400-000590937

본 연구에서는 쌍발이 모자반의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LPS에 의해 염증반응이 유도된 RAW 264.7 세포에 대한 쌍발이 모자반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살펴보았다. 세포 내 염증매개성 cytokine (IL-6, TNF-α 및 IL-1β) 분비량의 경우 농도 의존적인 감소 효과를 보였다. 또한 추출물이 iNOS, COX-2, NF-κB 및 MAPKs 발현 억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LPS 단독처리구에 의해 각 단백질의 발현량이 현저히 증가하였으나, 50 μg/ml 이상의 농도로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그 발현량이 효과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귀 부종 억제 효과 및 조직 관찰을 수행한 결과, 추출물 250 mg/kg 농도에서 prednisolone50 mg/kg 처리보다 귀 부종이 다소 감소함을 보였으며, 조직관찰 결과 쌍발이 모자반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함으로써 귀 조직의 경피 및 진피 두께가 얇아지고, 조직 내 mast cell침윤을 현저히 억제함을 보였다. 쌍발이 모자반 에탄올이 보이는 항염증 효과는 해조류 에탄올 추출물 유래 polyphenol계열의 화합물의 영향이 크다고 생각되며 현재까지 쌍발이 모자반 내의 항염증 효능 물질에 관한 연구는 보고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유효성분에 관한 분리 연구가 진행된다면 쌍발이 모자반 에탄올 추출물의 천연 염증 치료 소재로 이용될 가치가 충분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Sargassum patens C. Agardh ethanol extract (SPEE) was examined based on the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in this study. SPEE treatment was not cytotoxic to macrophages compared to the control. The production of NO was suppressed by SPEE by approximately 28% at 100 μg/ml, and levels of interleukin-6, tumor necrosis factor-α, and interleukin-1β de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addition, the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cyclooxygenase-2, and nuclear factor-κB was suppressed by SPEE treatment. In vivo, croton oil-induced mouse ear edema was attenuated by SPEE and the infiltration of mast cells into the tissue decreased. Based on these results, SPEE inhibits the release of LPS-induced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media-tors, suggesting that SPEE is a potential agent for anti-inflammatory therapies.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Acknowledgments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