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254.0
18.191.254.0
close menu
KCI 등재
「見られる」유정물주어 수동문 -수동문의 구조와 구문적,의미적 성질과의 관련성에 주목하여-
Passive Sentences with Animate Subject Using the Verb “Mirareru” :Centered on the Relationship of the Structure and the Syntactic/Semantic Properties of Passive Sentences
김봉정 ( Kim Bong-jung )
UCI I410-ECN-0102-2018-800-000628701

하나의 동사가 서로 다른 수동 구문에 나타났을 때, 각각의 구문 안에서 서로 다른 어휘적 의미가 발휘되는 경우가 있다. 본고에서는 문장 구조와 해당 문장이 갖는 통어론적 성질이 밀접히 관련되어 있음을, 「見られる」수동문의 실용례를 바탕으로 두 구문 타입, A.【人が人に見られる】와 B.【人が人にNを見られる】의 구문적, 의미적 성질에 근거하여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먼저 구문A의 「見られる」는 「見つめられる/注目される」와 같은 시각 활동을 나타내며, 중립적인 상황의 묘사에 빈번히 이용된다. 반면, B는 정보성을 포함하고 있는 を격 명사와 공기하여, “주어와 관련이 있는(혹은 있다고 화자가 판단하고 있는) 정보가 어떤 사람에게 전달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5.1). 이와 같은 어휘적 의미의 차이는 テイル형의 의미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예를 들어 A구문에서의 「見られている」는 「動作繼續」(工藤眞由美 1995)을, B구문에서는 「動作パ一フェクト」(工藤(同))를 나타내며, 이러한 차이는 각각의 구문에 있어서 「見られていて(る)」에 후속하는 문장, 주절의 내용 등도 하나의 근거가 되고 있음을 밝혔다(5.2). 또한, B는 「はた迷惑」라는 특수한 의미가 읽히는데, 이는 해당 문장의 사용장면상의 특징 및 동작주의 성질(주어와의 관련성의 타입, 문장에서 명시되는 비율)도 하나의 근거가 되고 있다(6.1). 이러한 구문간의 이질적인 성질을 바탕으로, “ぼくが彼に見られた”에서 전달되는 특수한 의미, 즉, “서술되고 있는 일은 주어 “ぼく”에게 있어 바람직한 상황이 아니다”라는 것은 수동구문으로 서술됨으로서 생겨나는 의미인 「はた迷惑」와는 다른 개념임을 서술하였다(6.2).

A verb can demonstrate different semantic properties when it is used in two different passive sentence struct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relativity of sentence structure and the syntactic behind the sentence through two passive Types with the verb “Mirareru” A.【hito-ga hito-ni mi-rareru】and B. 【hito-ga hito-ni mono/koto-wo mi-rareru】. “Mirareru” in Type A tends to express visual activities the same way as “Mitsumerareru/Chumokusareru” and often portray a neutral situation. Contrastingly, informative nouns are present as wo complement in Type B to express that “information related to the subject is delivered to another person”(5.1.). This lexical meaning also affects usage of Teiru sentences such as to show the continuous motion of “Mirareteiru” used in Type A but the continuous affect after a motion is done in Type B (5.2.). Adversative Meaning is clearly present in Type B, and this can be explain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age where B is frequently used to describe a poor situation for the subject, similarly like the property of the agent in few intransitive passive sentences (6.1.). Lastly, the meaning behind the sentence “boku-ga kare-ni mi-rare-ta” that the depicted situation is unfavorable to the subject is not an example of Adversative Meaning (6.2.).

1. はじめに
2. 分析方法および考察對象
3. 先行硏究および本稿の位置づけ
4.「見られる」が用いられている受身文の構文タイプ
5. AとBの構文的な特徵
6. AとBの意味的な特徵
7. おわりに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