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0.242.165
3.140.242.165
close menu
KCI 등재
지하련 소설의 서술화법 연구-「결별」, 「체향초」, 「도정」을 중심으로
A Spectre Haunting Korean Literature in the year of 1945-A Study on Narrational Mode of Ji Ha-Lyon`s Novellas-
염인수 ( Yum In-su )
우리어문연구 57권 143-194(52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0473487

얼핏 보기에 지하련 작품세계의 특이성은 「결별」과 「도정」이 담고 있는 이야기줄거리의 여러 대칭적 양상에서 비롯된 것 같다. 두 소설은 주(主)인물이 여성과 남성으로 대비되고, 배경은 해방 전의 지방 소도시와 해방 직후 서울 한복판으로 대비되며, 주된 정조 또한 연애감정과 정치의식으로 대비되기 때문이다. 「도정」의 명시적인 정치성이 이와 같은 대칭을 만들어낸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해 기존의 연구에서는 「결별」과 「도정」을 시작과 끝 혹은 사적 세계와 공적 세계라는 식으로 서로 동떨어진 범주에 귀속시켜 해석해왔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첫째, 지하련 서사에 공통적인 서술화법을 규명함으로써, 둘째, 이제까지의 연구가 오독해왔다고 여겨지는 「도정」 속 부분 텍스트의 새로운 해석을 통해서 지하련의 서사 전체를 관통하는 문제구성을 재발견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이를 추적해나가는 논변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결별」, 「체향초」, 「도정」 세 작품에 공통적인 서술화법상의 특징을 찾아내려고 하였으며, 전체를 관통하는 문제구성이 각 작품에서 전개되는 양상을 재구성해 보았다. 우선 이 논문은 서술자의 말인지 인물의 말인지 판명하게 구별되지 않는 문장들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주요 대상 텍스트인 「결별」, 「체향초」, 「도정」 뿐만 아니라 지하련의 서사 전체에 나타나는 서술자를 <삼인칭 자기서술자>라고 규정하였다. <삼인칭 자기서술자>는 자기서술의 서술화법 속에서 서술자의 권한을 양도받은 `그/그녀`로서, 자기서술과 타자서술을 통합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지하련의 서사 전체를 통해 볼 때에 <삼인칭 자기서술자> 역할은 각 서사의 주(主)인물에게만 부여된다. 첫 번째 작품인 「결별」에서부터 지하련의 서사는 이야기줄거리와 서술화법, 그리고 문제구성의 각 수준을 서로 결속하면서 이루어진다. 「결별」은 자전적 이야기를 담은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여기에는 이야기줄거리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자기와 타자 사이의 위치 교체가 있다. 현실 이야기의 주(主)인물은 허구 이야기의 제삼자이며, 허구 이야기의 주(主)인물은 현실 이야기의 제삼자였다. 이야기줄거리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이런 교차는, 서술화법 수준에서는 <삼인칭 자기서술자>의 기능을 생성하며, 문제구성의 수준에서는 개별적 인간의 감정이 여성 집단에 대한 성찰로 확장되어야 한다는 논리를 형성한다. 「체향초」는 변증법의 논리 자체에 대해 검토한다. 사인(私人)의 감정이 여성의 집단의식으로 확장되는 반성의 전개 과정을 변증법으로 규정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지하련 서사의 문제구성은 이를 반성 없이 수용하지 않는다. 두 부류의 변증법 논리가 「체향초」에서는 두드러진다. 첫째는 남성들의 궤변에 담긴 논리다. 이 논문은 이를 `변증법적 자동장치`라고 명명하였다. 지하련의 서사에 등장하는 남성들의 궤변에는 물러남 중에도 어떤 거창함이 담겨 있으며 이미 앎이 항상 전제되어 있다. 이를 의심할 적에 두 번째 변증법 논리가 나타난다. `양심의 변증법`이라고 명명한 이 논리는 앎을 자동장치에 맡기지 않으려는 사유에서 비롯된다. 이것이 자동장치와 다르게 작동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말이 단일하고 개별적인 것 내부에서 처리되지 않도록 해야 하므로 서술화법 수준에서 <삼인칭 자기서술자>의 기능이 다시금 나타난다. 이 논문은 이렇게 해서 해방 이전에 지하련의 작품들이 벌써 관건으로 삼았던 것이 단일하고 개별적인 `나`로부터 벗어나는 문제였음을 밝혀내었다. 그리하여 지하련의 해방 이전 작품들에 깃들어 있던 것이 공산당이라는 유령임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도정」_______에서 공산당을 `괴물`로 지칭한 부분이 기왕의 해석을 함정에 빠뜨려왔으나, 이 논문에서는 당대 지식인들에게 `괴물`은 지금의 `유령`과 같은 맥락에 놓인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도정」의 주된 대립은 자유로운 개인의 양심과 조직된 공산당의 집단의식 사이의 대립이 아니다. 그래서는 「도정」의 결말이 주의주의적인 포기로 읽힐 수밖에 없다. 유령이 실체를 가지게 된 시공간이 해방 후의 시공간, 곧 「도정」의 시공간이다. 그러므로 실체화된 공산당 조직 내의 옳은 것과 그른 것 사이의 대립이야말로 「도정」의 주요 대립으로 보아야 한다. 이 논문은 「도정」의 <삼인칭 자기서술자>가 이런 대립을 의식한 채로 자기 자신을 자기가 속한 계급과 동일시함으로써 실행의 지평으로 나아갔던 것이라고 해석하였다.

Ji Ha-Lyon had left only a small number of works. However, her works configurate the singular place where the interest of women intellectuals, class politics, and Liberation history are crossed. For this reason,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결별`(The Breakup) and `도정`(The Road). When the interest in women`s sexuality had emerged, `결별` was highlighted, and When the study of liberative space has become active, `도정` attracted attention. In addition, her story of life as “a wife of Im Hwa” was also a small reason to attract the attention of researchers. At first glance, the singularity of Ji Ha-Lyon`s works seems to have originated from the symmetrical aspects of each plot of `결별` and `도정`. The two novellas are contrasted by the protagonists who are woman and man in each novellas. Their stages are contrasted with the local small towns before Liberation of Korea and the center of Seoul after Liberation, and their major affects are also contrasted with romantic sentiment and political consciousness. It seems that the explicit political quality of `도정` had created this symmetry. Thus, in the existing research, `결별` and `도정` are attributed to the distinctive category as the beginning and end or the private world and the public world. However, in this study, firstly, by explaining the narrational mode which is common to the narratives of Ji Ha-Lyon, secondly, through the new interpretation of the partial text in the `도정` which is supposed to be misread by the researches so far, I argue that I could rediscover the common problematics which penetrate the narratives of Ji Ha-Lyon. For this purpose, I searched for characteristics of narrational modes common to the three works of `결별` and `체향초(Days of Homecoming)` and `도정` reconstructing the procedure in which the problematics penetrating the entire works is developed. Above all, I focuses on sentences that are not distinguishable from the words of a narrator or a character. By analyzing this, I defined the narrators appearing in the entire narratives as the “third-personized-auto-narrators”. “third-personized-auto-narrator” is the he or she who is given the authority of the narrators in narratives of auto-narration, and is the agent who is responsible for integrating auto-narration and hetero-narration. Through the entire narratives of Ji Ha-Lyon, the function of the “third-personizedauto- narrator” is invested only to the protagonist of each narratives. Even in the first novella, `결별`, the narrative is composed by configurating each level of plot, narration, and problematics together. `결별` is known as a work containing an autobiographical story. Here, however, there is a position change between the self and the other that takes place at the level of the plot. The protagonist of the actual story is the third person of the fictional story, and the protagonist of the fictional story is the third person of the actual story. Such interchange at the level of plot produces not only the function of “third-personized-auto-narrator” at the level of the narration but also the logic implying that the individual affects must develop into the reflection on the class of women at the level of problematics. `체향초` examines the logic of the dialectic as such. Even though the development of the reflection in which the personal emotions expand into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of the women could be defined as a dialectic, narratives of Ji Ha-lyon did not accept this definition without reflection. There are two kinds of dialectic being prominent in the `체향초`. The One is the logic of men`s sophistication. I conceptualized it “dialectical automatic device”. The men`s sophistication in the narratives of Ji Ha-Lyon within which knowledges are always already presupposed elaborates some grandeur during the retreat. When such sophistication have become suspected, there emerges the other, that could be named as “the dialectic of conscience”. This logic comes from the thought not to leave knowledges to automatic devices. In order for this logic to operate differently from automatic devices, the function of the “third-personized-auto-narrator” appears again at the level of narration, since even a word must not be processed within a single individual. In this way, this article has revealed that what had been the stake of Ji Ha-Lyon`s novellas before Liberation was the problem of deviating from the single and individual `I`. Therefore it must be emphasized that there had been a spectre of the Communism in Ji Ha-Lyon`s works before Liberation. The partial text of `도정` which described Communist Party as a “monster” has thrown researchers into confusion, but the “monster” to the intellectuals of those days should be understood as the “spectre” in context of today. The major confrontation of `도정` is not a conflict between free conscience of the individual and collective consciousness of the organized Communist Party. If that is the case, then the ending of `도정` cannot but be read as the voluntarist abandonment. Liberation could be regarded as the time and space where the spectre comes to be actuality, and that is the time and space of `도정`. Thus The major confrontation of `도정` should be the conflict between the right and the wrong in an actualized Communist Party organization. Since being conscious of this confrontation, “Third-personized-auto-narrator” of `도정` went to the horizon of act by identifying himself with the class to which he belongs, petit bourgeois.

1. 공산당이라는 `유령`?
2. 지하련 소설의 서술화법
3. 「결별」의 문제구성
4. 「체향초」의 문제구성- “옳은 것 같지만 옳은 것 같지 않은”
5. 「도정」의 문제구성-실행의 조건과 계급의식 사이의 관계
참고 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