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2.144.40
3.142.144.40
close menu
KCI 등재
외상경험자의 정서인식명확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Emotional Clarity On Posttraumatic Growth among Individuals with Traumatic Experience: The Mediation Effects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남여명 ( Nam Yeo-myoung ) , 박철옥 ( Park Chol-ok )
상담학연구 18권 3호 23-41(19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0586781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외상사건을 경험한 성인을 대상으로 정서인식명확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웹기반 설문조사를 활용하여 외상을 경험한 만 18세 이상의 성인 남녀 374명을 대상으로 정서인식명확성,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그리고 외상 후 성장을 측정하는 설문지를 온라인상에서 실시하였고 Mplus 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모형 분석 이후 매개모형 검증을 위해 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주요변인간의 상관분석을 통해 정서에 대한 높은 인식이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외상 후 성장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정서인식명확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를 외상을 경험한 성인에 대한 상담 시 정서인식을 위한 개입의 효과성 측면에서 논의하였고 제한점 및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s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osttraumatic growth. A web-based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the data of 374 adults with history of traumatic life events. The scales used in the questionnaire were: a questionnaire on traumatic experience, TMMS (Trait Meta Mood Scale), K-CERQ (the Korean version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and K-PTGI (the Korean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The Mplus 7.0 was used to analyze the structural model and Bootstrapping was us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e fact that high emotional awareness is related to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posttraumatic growth. Second, partial mediation effect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ere observed in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osttraumatic growth. Finally,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presented based on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conducted for emotional awareness while counseling adults that have had a traumatic experience.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