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6.222.12
18.226.222.12
close menu
KCI 등재
박선장(朴善長) 가문의 영주(榮州) 생활과 시가 창작의 의미
A study on the family of Bak Seon-jang(朴善長) s living in Youngju(榮州) and the meaning of their Siga(詩歌)
송재연 ( Song Jae-yeon )
고전문학연구 51권 65-95(31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581685

이 논문은 務安朴氏 寧海派의 朴善長(1555~1616) 가문이 영주로 이주하여 세거하는 동안 창작한 시가 작품을 검토하여 박선장 가문의 시가 창작 양상과 의미에 대해 고찰하고자 작성된 것이다. 영주 入鄕祖인 박선장은 南夢鰲와 학맥과 혼맥을 형성하면서 영주 지역에서 입지를 확보하며 안정적으로 학문을 연마할 수 있었다. 그런데 그의 영주 생활에서 주목되는 점은 그가 퇴계학을 계승하는 가운데 『심경』을 탐독하였다는 사실과 이산서원의 동주로서 서원 교육을 통한 영주 지역 향촌사족의 교화에 힘썼다는 점이다. 특히 그는 향촌의 유림들과 함께 직접 구만서당을 건립하여 후학을 양성하는 데에도 진력하였다. 이때 주자의 <白鹿洞書院揭示>에 담긴 강학 지침인 `오륜`을 구만서당의 교육 근간으로 삼고, `오륜`의 이념을 시조 <五倫歌>로 형상화하여 서당의 유생들을 권면하고자 하였다. 박선장의 장남인 朴璥 역시 외조부인 남몽오의 문인으로, 환로에 나가지 않고 성리서를 중심으로 한 도학의 탐구를 지향하면서, 특히 『심경』의 이치를 체득하고자 노력하였다. 특히 그는 도학의 의리를 중요시하여 당대의 부조리한 현실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토대로 절의 정신을 시조 <鋤?歌>로 형상화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박선장과 박경 부자의 시조 창작은 영주 지역에서 사족으로서의 입지를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그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영주에서의 경제적 기반이 약했던 박선장 가문은 남몽오와의 사승 관계를 통해 영주 지역 사족들과 학맥을 형성하고, 또 사제지간의 인연으로 인해 옹서지간이 되면서 영주에서의 입지가 어느 정도는 확보되었을 것이지만, 이후 시조를 통해 퇴계학의 이념을 더욱 공고히 드러냄으로써 친족을 비롯한 주변 在地士族을 교화하고 결속할 수 있었다.

This paper is to consider creative aspects and the meaning of Siga(詩歌) written by the family of Bak Seon-jang(朴善長), namely Bak Seonjang and Bak Gyeong(朴璥), reviewing the works of poems created living in Youngju(榮州) which is weak in economic fundamentals for generations. Bak Seon-jang was be able to hone their studies in Youngju by building school ties and marriageable relationships with Nam mong-o(南夢鰲). By the way, it should be noted in his Youngju life that he read Simgyung(心經) hard, and he make an effort to edification of Hyangchonsajok(鄕村士族) in Youngju by the edcation of Seowon(書院), as a director of Yisan-Seowon(伊山書院). Especially, he build Guman-Seodang(龜灣書堂) with Hyangchonsajok and use all his force in training younger students. At this time, he regarded Oryun(五倫) contained in Bakrokdongseowongesi(白鹿洞書院揭示) as the basis of Education in Guman-Seodang, and he encouraged Confucian scholars in Seodang by forming Oryun in Sijo(時調), Oryunga(五倫歌). The eldest son of Bak Seon-jang, Bak Gyeong is also as a student of Nam mong-o, and he make efforts day and night to realize the reason in Simgyung. Especially, he symbolized faithful mind as Seoyooga(鋤?歌), based on the critical awareness of the absurd reality of the present day. In conclusion, the Writing of Sijo in family of Bak Seon-jang means to secure a position as Hyangchonsajok in Youngju area.

1. 서론
2. 박선장 가문의 영주 세거와 퇴계학의 계승
3. 박선장 가문의 시가 창작 양상과 그 의미
4.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