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7.218.215
3.137.218.215
close menu
KCI 등재
박두진 수석시편의 여성화 양상 고찰
A Study on Feminine Aspects of Park Du-jin`s Poetry on Suseok
박선영 ( Park Sun-young )
어문론총 72권 263-294(32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581998

돌의 세계에 매료된 박두진 시인의 후기 시작(詩作)은 돌과의 지극한 사랑 속에서 이루어진다. 돌밭을 순례하며 고독 속에서 빚어낸 수석시편은 시인의 독자적인 시정신이 집약되어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박두진의 시 연구는 주로 초기시에 편중되었으며 후기에 발표한 수석시편에는 주력하지 못하였다. 또한 그의 수석시가 은유적 사유에 근거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연구는 대부분 상징이나 알레고리 차원에서 검토되었다. 따라서 본고는 박두진 시인이 수석에 천착한 이후 처음으로 출간한 시집 『수석열전』의 시편을 대상으로, `돌`의 표상성 너머에서 전개되는 은유적 의미의 증폭과 긴장의 심화 양상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본고에서는 박두진의 『수석열전』에 나타나는 여성화된 돌의 이중적 의미 변주에 집중하였다. 수석시에서 여성화된 돌은 초월적 존재와 미적 존재로 전이되는 가운데 시인의 절망적 한계 인식과 에로스의 추구가 구현되고 있다. 이를 통해 인간의 존재론적인 문제와 결부된 `돌`이 상징에서 은유로 이행되면서 의미의 세계가 확장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흐루쇼브스키의 은유이론을 활용하여 수석시의 은유 양상을 분석한 이 글은 돌에 응집되어 있는 시인의 다층적인 사유의 결과 미감을 도출해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Poet Park Du-jin`s poetry written in the latter period of his career was the result of his long-lasting fascination with stones. Produced in solitude while walking on these stones, his poetry on Suseok or viewing stones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s the essence of his independent poetic spirit. However, studies on his poetry were mainly focused on poems written during the earlier period of his career, rather than the latter. In addition, despite the fact that his Suseok poetry is based on his metaphorical thinking,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were limited to exploring symbols and allegory. For these reasons, 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the aspects of metaphorical meaning extension, and the intensifying tension which are developed beyond the representation of stones in relation to Park`s “Suseok-yeoljean,” of which was the first to be published since he began pursuing viewing stones. This paper particularly focuses on dual meanings of stones personified as feminine in his Suseok poems. Stones expressed as female figures in the poetry embody his awareness of desperate limitedness as well as the pursuit of eros as they further transformed into transcendental and aesthetic beings. As the representation of stones associated with the ontological issues of human beings shifted from symbol to metaphor through this process, their meanings extended. Analyzing metaphorical aspects of his Suseok poems with Hrushovski`s metaphor theor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rives its `texture` and aesthetic sense from the poet`s multi-layered thinking reflected in stones.

1. 문제제기
2. 여성화된 돌의 이중적 의미 변주
3.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