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102.112
18.191.102.112
close menu
KCI 등재
매산(梅山) 홍직필(洪直弼)의 심설(心說) 연구 ― 심체본선설(心體本善說)과 명덕설(明德說)을 중심으로 ―
A Study of Maesan Hong Jik-pil`s theory of Heart-Mind - focusing on Simchebonsunseoul(心體本善說) and Myeongdukseoul(明德說)
신상후 ( Shin Sang-who )
한문고전연구 34권 79-116(38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582531

梅山 洪直弼(1776~1852)은 19세기 전반기 洛論 학술계를 주도했던 학자이다. 그는 農巖 金昌協-渼湖 金元行-近齋 朴胤源으로 이어지는 낙론의 학맥을 계승한 학자로서, 당대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그 영향과 위상에 비해 매산 性理說에 대한 학계의 연구는 미미했다. 그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제시할 수 있는데, 첫째는 매산이 논쟁을 기피하는 태도를 지녔었기 때문이고 둘째는 조선조 유학사 연구에서 19세기 전반기 낙론에 대한 연구가 대체로 결여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19세기 전반기 낙론 학술계의 지향을 살피고 18세기에서 19세기로 이어지는 조선조 유학사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매산 성리설에 대한 연구가 요청된다 하겠다. 본고는 매산 성리설 연구의 기초 작업으로서, 매산 성리설의 핵심이 되는 心說을 고찰하였다. 매산이 속한 낙론은 栗谷 李珥를 宗師로 한다. 따라서 `모든 발생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氣發理乘一途說]`, `理로 인하여 본체의 근원적 동일성이 담보되고 氣로 인하여 현상적 차별성이 생겨난다[理通氣局]`라고 하는, 율곡의 宗旨를 계승한다. 율곡의 이러한 학설에서는 본체(理)의 온전한 실현 여부가 氣에 달려있게 되는바, 주자학의 용어로 말하면 `理의 온전한 실현은 理가 湛一精爽한 本然의 氣를 탔을 때에 가능하다`라는 것이다. 낙론에서는 이 本然의 氣를 心으로 보아 心을 본체 실현의 주체로 자리매김하도록 하는데, 이는 매산 역시 마찬가지로, 이 때문에 心說이 매산 성리설의 핵심이 되는 것이다. 매산은 心이 性만큼이나 근원적 동일성을 갖는다고 보았다. 매산에 있어서 心은 개체의 心이라는 점에서 개별자이지만 차별적 氣質과 구분된다는 점에서 보편자이다. 心의 근원적 동일성과 보편성을 定式화한 것이 心體本善說이며, 이 이론은 氣質의 氣와 心의 氣를 구분함으로써 성립한다. 또 매산은 『大學』의 明德에 대해서 明德主氣와 明德無分數를 주장하였는데, 이는 `명덕은 心을 가리킨 말이며[明德主氣] 그 心은 보편성을 갖는다[明德無分數]`는 것을 밝힌 이론으로, 이 역시 心의 근원적 동일성과 보편성에 대한 이론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심체본선설과 명덕설 두 가지 이론을 중심으로 매산의 心說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매산 심설에서의 심은 형이상과 형이하를 통섭하고 본체와 현상을 통일하는 주체로서 그 존재론적 위상을 정립함을 확인하였다.

Maesan Hong Jik-pil(梅山 洪直弼, 1776~1852) is a leading scholar of the Nangnon(洛論) academic community in the early nineteenth-century. He followed after the Nangnon school scholars, such as Kim Chang-hyeob(農巖 金昌協, 1651~1708), Kim Won-haeng(渼湖 金元行, 1702~1772) and Park Yun-won(近齋 朴胤源, 1734~1799), and had great influence on the times. Yet despite his clout and prestige in academic field, Hong Jik-pil`s Seongli-seol(性理說) has not been fully evaluated. It is because Hong Jik-pil tended to evade academic arguments. Also, there has been a lack of study on the early nineteenth-century`s Nangnon in the history of Joseon Confucianism. Therefore, it is required to fully appreciate his Seongli-seol in order to examine academic tendency of Nangnon in the early nineteenth-century and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from the eighteenth to nineteenth-centuries. This paper, as a groundwork on Hong Jik-pil`s Seongli-seol, analyzes his Heart-Mind theory(心說). The Nangnon school that Hong Jik-pil belonged venerated Lee Yi(栗谷 李珥, 1536-1584) and thus followed his core idea that `Every occurance has the same structure[氣發理乘一途]; Li(理) secures fundamental sameness of the substance and qi(氣) arises phenomenal differentiation.[理通氣局]` Based on it, realization of the substance is depended on qi, responsible for specific action. In other words, the fulfillment of li is possible through pure and innate qi, according to the words of Zhu Xi(朱熹) Study. In Nagnon, innate qi is regarded as Heart-Mind(心), so Heart-Mind becomes the subject of fulfillment of the substance. As Hong Jik-pil accepted the idea, Heart-Mind theory became the core point of his Seongli-seol. According to Hong Jik-pil`s argument, Heart-Mind possesses the fundamental sameness, as much as Nature(性) has. Heart-Mind(心), as an individual being, is an independent entity, at the same time, is an universals that differs from differential disposition(氣質). The fundamental sameness and the universals of Heart-Mind are formalized as Simchebonsunseoul(心體本善說). The theory has been established by making a division between qi of disposition and qi of Heart-Mind. Moreover, in terms of Illuminating virtue(明德) from Great Learning(大學), he argued Myoungdukjuki(明德主氣) and Myoungdukmoobunsoo(明德無分數). It clarifies that `Illuminating virtue indicates Heart-Mind[明德主氣]; Heart-Mind possesses universality[明德無分數]`, also states fundamental sameness and universals of Heart-Mind. This paper attempts to analyse Hong Jik-pil`s Seongli-seol from the perspective of these two theories.

Ⅰ. 머리말
Ⅱ. 退溪와 栗谷 그리고 湖論과 洛論으로의 전개
Ⅲ. 梅山의 心體本善說의 구조
Ⅳ. 梅山의 明德說
Ⅴ.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