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226.105
18.118.226.105
close menu
KCI 등재
대전본(大全本) 사서장구집주(四書章句集注)의 음주(音注)에 대한 일고찰(一考察) - 『대학장구(大學章句)』와 『중용장구(中庸章句)』를 中心으로 -
A Study on the Phonetic system of Collected Annotations on the Four Chinese Books of Daejeonbon - Focused on the Great Learning and the Doctrine of the Mean
이규필 ( Lee Gyu-pil )
한문고전연구 34권 335-368(34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582602

이 연구는 대전본 사서집주의 음주에 대해 고찰하고, 한문전문연수기관 혹은 대학교에서의 사서 강의에 음주의 활용이 필요한지, 또는 그것이 과연 유의미한지를 모색하기 위해 시도된 것이다. 조선시대의 사서 교육은 전적으로 대전본 집주를 통해 이루어졌고, 현재 우리나라의 전문연수기관, 유관 단체, 대학의 한문학 관련 학과에서도 사서의 경우 대체로 주자집주를 교재로 삼고 있기 때문에 대전본 사서집주를 대상으로 하였다. 다만 음주에 대한 정리는 사서집주 전체를 해야 되겠지만, 본 연구가 목표로 하는 주요 논의는 『대학』과 『중용』에 실린 音注만으로도 가능한 바, 논지를 명료화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대학』과 『중용』의 음주에 한정하여 논하였다. 사서집주에 나타나는 음주의 형태는 1 聲調, 2 如字, 3 `A讀B`, 4 `音B`, 5 反切, 6 두 가지 이상 병용된 것, 이렇게 6형태로 나누어볼 수 있다. 이 여섯 유형에 대한 정리와 고찰을 바탕으로 본고는 `新儒學的 經學觀 표명에 관한 문제`, `新儒學의 經文 解釋에 관한 문제` `朱子 章句集注의 깊이 읽기와 새로이 읽기`에 대해 다루었으며, 아울러 `바른 음가 찾기와 언해음 고찰`, `경문의 문학적 장치-음악성의 이해` 등의 지점을 함께 고찰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대전본 사서집주에 음주를 단 목적을 추론하고, 그를 통해 오늘날 四書 강의와 한문교육에서도 음주에 대한 이해와 활용이 유의미하리라는 결론을 추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honetic features (音注) of Daejeonbon(大全本), a variorum edition of the Four Chinese Books(四書音注), via examining how the study of its phonetic characteristics consists of a significant part of comprehension and explication of the Four Chinese Books, particularly for the purpose of teaching the text at Chinese language training institutes or in the college classroom. Learning the Four Chinese Books in the Joseon Dynasty was rendered entirely through the collected annotations of Daejeonbon. And the current education of the Chinese classics is still performed with the particular edition because many of the specialized training institutions and departments of chinese literature and language in the universities of South Korea are still in use of the annotated collections of the Four Chinese Books as the primary text to learn it. Granted that the arrangement for the phonetic study should be done for the entire Four Chinese Books, the main discussion of this article is converged around the Great Learning(大學) and the Doctrine of the Mean (中庸). Hence, this essay is primarily focused on the phonetic subject of the two classic texts in order to clarify my argument. The phonetics features of the edition can be divided into six parts: Tones(聲調), Ruzi(如字), Reading(讀), Sound(音), Fanqie(反·切), and combinations of the two or more. Based on the classification and the explication of those different types, this article deals with `the problems in establishing the Neo-Confucius view of the Chinese classics,` `the problems of Neo-Confucious scholars` interpretation of the classical texts`, and `the close reading and new interpretation of Zhu Xi`s Annotation (章句集注)`. In addition, I examine such phonetic dimensions as `the precise phonetic values and the pronunciation system of the Chinese in Joseon Dynasty`, also investigating the `literary device and musicality of the Chinese classics` together. Throughout the discussion, this study reasons the purpose of attaching the phonetic annotations to the variorum edition of the Four Chinese Books. In so doing, I come to conclude that the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the phonetic features of the Confucius classics comprises a significant part of the research and education of the Four Chinese Books, especially in our time.

Ⅰ. 들어가며
Ⅱ. 四書集注 音注의 性格과 役割
Ⅲ. 經書 解釋과 敎育에서의 經學的 접근과 반성
Ⅳ. 나가며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