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8.124.40
3.138.124.40
close menu
KCI 등재
자기표현 글쓰기 교육의 비판적 검토 - 수사(修辭)와 탐구 그리고 정체성 -
A critical review of expressive writing education - Rhetoric, research and identity -
이정찬 ( Lee Jung-chan )
작문연구 33권 65-94(30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583023

이 연구는 자기소개서와 성찰적 글쓰기를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는 기존 의 자기표현적 글쓰기에 대해 살펴보고, 서구의 논의를 검토하는 과정을 통 해 자기표현적 글쓰기의 새로운 방향에 대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자신에 대한 홍보와 특정한 목적 달성을 위한 수사로 서의 글쓰기 혹은 자아에 대한 탐구와 성찰을 위한 글쓰기를 `자기표현적 글쓰기`의 대표적 유형으로 간주하였다. 하지만 지금의 자기소개서는 상대가 요구하는 특정한 능력과 가치에 따라 필자 자신의 판단과 경험을 선별적으로 드러내는 것을 강요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상대가 가치 있을 것으로 여 기는 특정 사례나 경험을 과장하거나 미화하고 나아가 그러한 가치에 스스로를 합리화하는 왜곡된 과정까지도 `전략적 소통`으로 포장하고 있는 것이 자기소개서의 이면이다. 성찰을 목적으로 하는 글쓰기 역시 내적 지향의 자 아 탐구를 중심으로 논의하고 있어 필자의 내면적 고백이 `자기 확증`에 이를 뿐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나 공동체에 대해 간과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결국 이러한 연구 경향은 자기표현적 글쓰기를 제한적 측면에서만 접 근하고 있는 것이다. 반면 서구에서 자기표현적 글쓰기에 대한 관심은 전통적이고 관습적인 글쓰기 교육을 거부하고 필자의 의식적이고 자율적인 활동을 중시하는 것에 서 시작되었다. 즉, 자신의 주장과 견해를 과감히 밝히는 적극적 행위로서의 글쓰기가 바로 `자기표현`을 지칭하였던 것이다. 결국 이러한 관심의 변화는 글쓰기를 통해 자신과 공동체의 변화 및 발전을 도모하는 적극적 행위를 강조하였던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기표현적 글쓰기의 본질을 `정체성` 측면에서 고찰 하고, 자기표현 글쓰기를 자신과 세계에 대해 특정한 판단을 이끄는 신념이 나 가치관 등을 자각 및 분석하여 이를 타인과 공유함으로써 자기 변화와 발전을 도모하는 일련의 의식적인 쓰기 행위로 규정하였다. 이에 따라 글쓰기 교육 역시 특정 사안에 대해 학습자 스스로 판단이나 결정을 내리도록 유도하고 그 기저에는 어떤 가치와 신념이 존재하는지, 무엇이 자신의 존재 의미를 왜곡하지 않고 드러내는 것인지를 글쓰기를 통해 확인하는 것에 중 점을 두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그 결과를 타인과 공유함으로써 자기 점검의 계기로 삼고, 타인과의 불균형을 조율하고 조정하는 등의 과정을 통 해 자신의 신념과 가치 등에 변화와 발전을 모색하는 순환적이며 지속적인 쓰기 교육 과정을 자기표현적 글쓰기 교육의 모델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expressive writing which have been discussed in the self - introduction and reflexive writing, tries to find a new method of expressive writing by reviewing western theories. In previous studies, it was considered as publicity for self and tool for achieving a specific goal or considered as representative writing mode of search and reflection of the self. But the present self-introduction statements are forcing me to selectively expose my judgment and experience according to the specific abilities and values that depended on opponent`s needs. Then, the self-introduction statements are that even the distorted process of exaggerating or beautifying certain experiences that the opponent regards as worthy, and rationalized to such writing, is also being wrapped in `strategic communication`. Writing for reflection is also criticized because of discussing with the inner self-exploration by confession to cause a resulting self-affirmation, as well as ignoring the society or community. In the end, both studies are approaching limited expressive writing. On the other hand, interest in expressive writing in the West began with an emphasis on writer`s conscious and autonomous activities, refusing traditional and customary writing education. In other words, writing as an active act that daringly expresses own arguments and opinions was called `expressive writing`. In the end, this change of interest emphasized positive action that promotes change and development of oneself and community through writing. In this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identity, expressive writing was defined as a series of conscious writing activities aiming at self - change and development by understanding and analyzing the bases (beliefs and values, etc.) leading to specific judgments about themselves and the world and sharing them with others. Therefore, writing education also induces learners to make judgments and decisions about various issues and issues, emphasize that be placed on checking through writing what values and beliefs exist, what they reveal without distorting the meaning of their existence. This study also proposed a cyclical and continuous process to change and develop their beliefs and values through the process of coordinating and adjusting the results by sharing them with others.

Ⅰ. 서론
Ⅱ. 자기표현 글쓰기의 교육 논리
Ⅲ. 자기표현 글쓰기에 대한 이론적 점검과 교육 방안 모색
Ⅳ. 정리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