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9.234.230
3.149.234.230
close menu
KCI 등재
남북한 초등학교 쓰기교육 내용 비교 - 남한의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북한의 `2013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
Comparative Study on the Contents of Elementary Writing Education in North-South Korea -focused on `2015 revised Korean Curriculum` in South and `2013 revised Korean Curriculum` in North-
주재우 ( Joo Jae-woo ) , 권순희 ( Kwon Soon-hee ) , 강보선 ( Kang Bo-sun ) , 정진석 ( Jeong Jin-seok )
작문연구 33권 35-56(22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583038

본고는 남한의 2015 교육과정과 북한의 2013 교육과정을 초등학교 쓰기 영역에 국한하여 비교해 보았다. 남한의 교육과정은 블룸의 교육목표분류학 의 분류에 따라 `지식, 기능(원리), 태도`의 틀을 잘 유지하는 선에서 성취기 준을 제시하였다. 그래서 쓰기의 본질이나 쓰기의 태도가 북한의 성취기준 에 비해 강조되는 형태를 띠고 있다. 게다가 현대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른 매체 글쓰기도 핵심 요소로 다루고 있다. 반면 북한의 교육과정에서는 계량 화되어 제시되어 있는 성취수준이 눈에 띈다. 이러한 성취수준이 학년에 따 라 위계화되어 제시되어 있다. 또한 북한의 교육과정은 글쓰기의 유형을 쓰기 행위의 목적이 아닌 문화적 양식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렇기에 남한에서 볼 수 없는 벽보글이나 상식소개글 등이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남북한의 교육과정은 통합의 과정을 거치면서 크게 2가지의 쟁점을 낳을 것으로 예상된다. 첫째는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대강화할 것인가 구체화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둘째는 글쓰기 유형을 쓰기 목적에 따라 구분 할 것인가 관습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문화적 양식에 따라 구분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curriculum of writing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North and South Korea. In South Korea, the curriculum maintains a framework for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So writing knowledge and writing attitude are emphasized in writing education differently to North Korea. Emphasize the importance of writing literacy in media 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s technologies in South Korea. Features of North Korea`s achievement is its quantified curriculum. The degree of achievement can be measured by its standard. In North Korea`s curriculum, the type of writing is divided into cultural forms, but in South Korea it is divided into the purpose of the act. Therefore, two issues appear in the process of integrating South and North Korea curriculum. First, whether to abstract or concrete achievement criteria should be determined. Second, decide whether the type of writing should be divided according to its purpose or according to the form.

Ⅰ. 서론
Ⅱ. 북한 교육과정에서 쓰기 영역의 위상 및 내용 요소
Ⅲ. 북한 쓰기 교육과정의 특징
Ⅳ. 남북한 통합의 쓰기 교육과정 구성에 따른 쟁점
Ⅴ.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