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7.183.150
18.117.183.150
close menu
KCI 등재
백석의 만주 체험과 시
Baek-Seok`s experience of Mancuria and his poems
오성호 ( Oh Seong-ho )
배달말 60권 155-195(41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0574014

이 논문은 백석의 만주행과 이 시기의 시를 그의 내면에서 작동하고 있던 근대성의 변증법, 그 가운데서도 재마법화와 그 일부를 이루는 엑조티시즘(exoticism)과 관련된 것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했다. 이런 접근법은 백석의 시와 삶에서 나타나는 모순, 즉 지극히 모던한 취향과 토속적이고 샤마니즘적인 세계에 대한 애착이 공존하는 상황을 이해하는 데 적잖이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뿐만 아니라 백석의 만주행 역시 이런 근대성의 변증법과 관련해서 이해할 수 있다. 백석의 만주에서 쓴 시에서 만주와 만주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관심이 나타난 경우는 거의 없다. 그것은 이 시기 그의 관심사가 온통 낯선 세상에서 불안하게 흔들리는 자신의 정체성을 규명하는 데, 집중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그는 이 거칠고 낯선 세계에서 자신이 아무것도 아닌 익명의 존재로 지워져 가고 있음을 발견한다. 이에 따라 그는 이런 존재 망실의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해 `지금 여기`가 아닌 `그때 거기`로의 정신적인 망명을 꿈꾸거나 일종의 `저주받은 시인` 의식을 내세워 자신이 세상보다 `높은` 곳에 있는 존재임을 되풀이해서 강조함으로써 그 위기를 극복하고자 했다. 자신의 `시인됨`에 대한 성찰 과정에서 그가 발견한 가장 핵심적인 시인적 자질은 “진실로 인생을 사랑하고 생명을 아낄 줄 아는” 마음과 거기서 우러나는 “놉은 시름, 놉은 슬픔”과 `게으름`이었다. 이 중 `게으름`은 삶과 세계에 대한 성찰, 그리고 창조적 에너지와 열정의 축적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그것은 속도와 효율성을 앞세워 자연과 인간을 극한까지 쥐어짜는 근대에 대한 비판적 대안으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백석은 해방 직후(만주국의 붕괴) 만주에서 귀환해서 그대로 북한에 머물렀다. 이 귀환의 과정은 그의 시와 관련해서 보자면 높은 곳에서 낮은 세계로의 하강을 의미한다.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 방」은 이 점을 보여준다. 특히 그가 지난 시절에 대한 회오(悔悟)와 자신을 이끌어온 운명의 의미를 성찰한 끝에 발견한 `갈매나무`는 만주 시절의 시에서 그린 `고고(孤高)`한 시적 주체와는 전혀 다른 지상적인 존재이다. 그런 점에서 이 시는 만주 시절의 삶에 대한 반성문이자, 이후 전개될 자신의 삶에 대한 예감을 말한 것으로 읽을 수 있다. 따라서 이 하강의 동기와 과정에 대한 면밀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백석이 북한에 남은 이유를 해명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런 의미에서 백석의 삶과 시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갈 길이 많이 남아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is a critical examination of Baek-Seok`s trip to Manchuria and the poems he wrote during this period through the lens of the dialectics of modernity. This critical piece particularly focuses on the re-enchantment and exoticism running through his works during this period. This approach helps us understand the contradictions in the poet`s oeuvre and life, especially the coexistence of his highly modern aesthetic taste with his love for the traditional world and the shamanistic belief system. In the poems he wrote in Manchuria, he shows little interest in Manchuria and the people who live there. His focus is instead centered on his struggle to define his own identity, which was oscillating wildly in a strange, foreign world. In the midst of this turmoil, the poet recognizes in his work that his presence is rendered anonymous and that he himself is being erased. In his efforts to escape the situation, he dreams of emotional exile from “now and here” to back “then and there” or places himself “above the outer world,” foregrounding his self-consciousness as “the cursed poet.” In his self-reflexive, creative explorations, he finds a poet`s quality in “laziness.” He sees laziness as a state for accumulating creative energy and passion. Simultaneously, however, it can be read as passive resistance against the modernity that grinds and consumes humanity in the name of speed and efficiency. Baek-Seok returned to the Korean peninsula from Manchuria right after the collapse of Manchukuo. After his return, he remained in North Korea. This trajectory, seen in the light of his poems, can be read as a descent from a loftier self-perception to a more humble one. The poem “South Sinuiju Yudong Park Bong Bang” is a case in point. The imagery of “buckthorn tree” in the poem is a discovery about earthly subjects as opposed to the lofty ideals of a poet in which he was so invested during his years in Manchuria. It is a recognition he reaches as a result of his regrets for the past and his reflections on destiny. In this respect, the poem can be read as his reflexive letter of apology about his years in Manchuria as well as his premonitions about the upcoming years. Further research on the motivations and process of the changes in his understanding of self will open new avenues to understanding why the poet was determined to stay in North Korea. In this sense, there still remains room for academic and critical intervention in studies on Baek-Seok.

1. 백석과 만주 체험
2. 낯선 세계에 대한 갈망과 자기발견 과정으로서의 만주 체험
3. 자기구원의 열망, 혹은 `그때 거기`로의 정신적 망명
4. `저주받은 시인`의식과 게으름의 미학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