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3.121.160
3.133.121.160
close menu
KCI 후보
이기영의 『대지의 아들』: 제국의 만주 국책에 대한 길항의 정치적 상상력
Lee Ki-Young`s SON OF THE EARTH(대지의 아들): Resistant Political Imagination Against Empire`s Manchuria National Project
고명철 ( Ko Myeong-cheol )
영주어문 36권 33-66(34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0575884

카프 해산 이후 프로문학이 직면한 식민지 현실은 암담하기만 하다. 카프의 농민문학의 최고봉으로 손꼽히는 이기영(李?永, 1895∼1984) 역시 예외가 아니다. 반제국주의·반식민주의·반자본주의를 추동해온 문학운동 조직 카프의 소멸, 유럽과 아시아에 전횡하는 파시즘적 군국주의의 전일적 지배 등은 일제 말 이기영의 프로문학을 에워싼 난경(難境)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이기영의 장편 소설 『대지의 아들』은 그래서 문제적이며, 이 작품이 일제의 만주개척 식민통치에 대한 길항의 정치적 상상력을 보인다. 첫째, 이기영은 『대지의 아들』을 에워싼 이른바 `틈새 텍스트`를 통해 제국의 만주개척의 국책에 일관성을 가지는 협력의 글쓰기에서 벗어나고 있다. 비록 일제 말의 시대적 한계가 불가피한 장애로 작용하고 있으나, 카프의 맹원 이기영이 벼농사를 중심으로 한 재만조선인의 만주개척`들` 틈새와 그리고 만주국의 국책으로서 만주개척과 재만조선인의 그것과의 틈새에서 기획하고 있는 것은 `장래의 농민문학`에 초점이 맞춰져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둘째, 『대지의 아들』에서 부각되는 공간 `개양툰`이 지닌 로컬리티가 지닌 문제의식을 간과해서 곤란하다. 이기영이 주목한 작품 속 개양툰은 만주국의 대도시 근처나 주변부, 혹은 만주국의 궁벽한 외딴 오지에서 개척된 곳이 아니라 식민지 조선과 만주국의 동만(東滿) `접경 지대`임을 상상해볼 수 있다. 이 허구의 공간은 『대지의 아들』에서 그려지고 있는 재만조선인의 파란만장한 개척사가 지닌 정치적 상상력을 새롭게 불러일으킨다. 셋째, 이러한 이기영의 문학 대응은 비록 카프의 전성기처럼 프로문학이 거둔 리얼리즘의 미적 성취에 이르지는 못하지만, 이 허구의 공간 개양툰에서 치열히 재만조선인의 개척자로서의 삶을 살면서 만주국 개척서사에 힘겹게 균열을 내고, 특히 개양툰이란 허구의 공간에서 미래적 전망을 포기하지 않고 이상공동체를 추구하는 재만조선인`들`의 삶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After breaking up KAPF the colonial reality which Proletarian Literature faces on is dark. Lee Ki-Young, one of the greatest peasant literature of KAPF is also not exception. The literature movement organization KAPF`s extinction for driving anti-imperialism, anti-colonialism, anti-capitalism, the fascistic militarism`s total in Europe and Asia shows predicaments wrapping up Lee Ki-Young`s Pro-Literature as it is. Thus, his novel SON OF THE EARTH(대지의 아들) is problematic and this novel emerges a resistant political imagination against Japanese imperialism`s colonial domination of Manchuria`s pioneer. First, Lee Ki-Young is not faithful to the consistent collaborative writing for empire`s Manchuria pioneer`s national project through so called `gapping text` wrapping up SON OF THE EARTH(대지의 아들). Although the limitations of age of the late of Japanese imperialism is working unavoidable obstacle, we should take note what the KAPF`s ardent member, Lee Ki-Young has a project between Koreans in Manchuria`s Manchuria pioneer`s gap and as Manchuria`s national project between Manchuria`s something gap focuses on peasant literature in future. Second, we should not neglect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of which SON OF THE EARTH(대지의 아들) has an important space GAEYANGTUN`s locality. We can imagine what Lee Ki-Young takes note of his novel`s GAEYANGTUN is not the neighborhood of Manchuria`s big city or the pioneer region of the isolated area of Manchukuo but the boundary region between colonialized Chosun and Manchukuo`s eastern Manchuria. This fictional space arises newly a political imagination of which is related to Koreans in Manchuria live a historical life of extreme ups and downs. Third, although Lee Ki-Young`s literary response does not approach the realism`s aesthetic accomplishments which Pro-Literature obtains as the glory days of KAPF, his novel cracks hard Manchukuo pioneer`s narrative as what Koreans in Manchuria live for pioneer`s life in fictional space GAEYANGTUN, and it never forgives up perspective, focusing on Koreans in Manchuria`s life. They seek after the ideal community in SON OF THE EARTH(대지의 아들).

1. 카프 작가 이기영의 『대지의 아들』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2. 제국의 국책에 틈새를 내는 `틈새 텍스트`
3. 허구적 표상공간의 로컬리티, 제국에 길항하는 정치적 상상력
4. 만주국 개척서사에 균열을 내는 재만조선인`들`
5. 남는 과제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