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5.190.232
3.135.190.232
close menu
KCI 후보
1980년대 이후 현대 여성시에 나타난 하위주체 자기인식과 저항적 주체화
A Study on Subject Identification and Resistant Subjectivation Process Appearing in Korea`s Modern Female Poetry from 1980s
이소의 ( Lee So-eui )
영주어문 36권 107-142(36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0575900

본 연구는 대체로 1980년대를 전후하여 한국 현대 여성시에 나타난 하위주체인식과 저항적 주체화 과정에 초점을 맞춘다. 프랑스 페미니즘을 바탕으로 80년대 이후 유입된 포스트모던적 사유의 흐름에서 크리스테바의 `과정 중의 주체` 개념을 통해 여성시가 남성적 지배 이데올로기에 대항하는 다양한 모습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80년대 이후 타자로서의 남성과 남녀간의 `차이`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모성을 회복하고 주체화를 시도하는 여성적 글쓰기의 양상을 설명한다. 이에 본 연구는 중요한 의의를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 번째로 가부장적 지배 이데올로기에서 출산과 양육의 역할을 강요받음과 동시에 남성의 쾌락을 충족하기 위한 도구로만 인식되었던 여성의 몸은 억압의 대상으로서 먼저 드러난다. 하지만, 남성과의 근본적인 차이를 가지며 진정한 여성성을 회복하기 위해 돌아볼 곳 또한 여성의 몸이라는 점이다. 1980년대 이후 여성시에서 억압의 대상으로서의 여성의 몸은 남성적 폭력에 의해 짓밟혀 분열되는 모습을 보이며 크리스테바가 말하는 기호계와 압젝트적 성격을 담는 도구의 역할을 하므로 남성적 질서 내에서 산산이 조각되어 벗어난다. 이러한 전략을 잘 드러낸 고정희, 정명자, 김혜순, 김승희, 김언희 등의 작품으로 분석하였다. 두 번째 의의는 크리스테바의 과정 중의 주체 개념이다. 크리스테바의 말하는 주체에서는 모성의 존재를 내포하는 기호계가 끊임없이 부적 상징계의 질서를 흔든다. 뿐만 아니라 어머니와의 구별을 유도하며 상징계 밖으로 추방되어야할 압젝트적 분비물들은 여성시에서 여성이 남성적 지배질서를 침범하고 그에 저항하는 도구로서 활용되게 된다. 여성 신체의 극단적이고 잔인한 분해와 시적 형태의 파괴는 압젝트적 도구를 통해 시적 언어가 가지는 혁명성이 극대화 되는 과정을 엿볼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여성적 글쓰기를 통한 여성 주체 형성의 가능성을 다루었다. `여성적 글쓰기`의 발견과 새로운 모색들은 앞으로 시적전략으로서의 여성의 몸과 여성성 연구들과 함께 시적 주체로서 자리매김 되어 더욱 발전되어야 할 과제라고 생각된다.

Through Julia Kristeva`s notion of `the subject in process` that women`s poetic language has, this work analyzes body form and subject formation process appearing in Korea`s modern female poetry around the 1980s and how the poetry resists the male-dominant ideology in a variety of fashions. This paper demonstrates the disidentification level after 80`s at which she overcomes true contradictions and reveals herself as the subject, through the female writing and on the basis of the intersexual `difference`, all of which are explained in order. For this reason, this research has two important implications, which is summarized as follows. Within the context of the existing male symbolic order and patriarchal dominant ideology, the female body on which the role of reproduction and nurture was imposed and which was at the same time understood only as the instrument for fulfilling the male`s pleasure becomes revealed as the subject of oppression. However, her body connotes duality since it, with fundamental differences from that of the male, is a place to look back in order to restore true femininity. In the female poetry after the 1980s, the female body as the subject of oppression is shown to be trampled over and torn apart by male violence, playing a role of what Kristeva says to contain the characteristics of semiotic system and abjection, which results in the body shattering into pieces in the male order. This point is supported by analyzing works of Ko Jeong-hee, Jeong Myoung-ja, Kim Hye-soon, Kim Seung-hee, Kim Eon-hee, etc, which clearly demonstrate such strategy. The second implication is the categorization of Korea`s modern female poetry through the complex utilization of Kristeva`s concept of the subject in process. In Kristeva`s speaking subject the semiotic system connoting the existence of motherhood constantly disturbs the patriarchal symbolic order. But not only that, abject secretions leading to the distinction from the mother, and to be expelled from the symbolic are utilized in the female poetry as the instruments for the female to invade and resist the male-dominant order. Both the extreme, cruel decomposition of the female body and the destruction of poetic forms make us see maximizing the revolutionariness of poetic languages through the abject instrument.

1. 들어가는 말
2. 하위주체 인식과 자기비판
3. 남성중심주의 거부와 저항적 주체화
4.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