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6.42.208
18.116.42.208
close menu
KCI 등재
과학문화정책 활성화 방안연구
Study on the Revitalized method of Scientific Culture of Policy.
김경훈 ( Kim Kyeong-hoon ) , 박정희 ( Park Jeong Hei )
UCI I410-ECN-0102-2018-600-000083486

`과학문화`의 시대는 한국사회뿐 아니라 지구촌의 특징이기도 하다. 그러나 우리사회에 바람직한 과학문화가 어떤 것인지에 대한 논의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과학에 대한 장벽 및 무관심등은 최근 자주 거론되는 청소년의 이공계 “기피현상”과 같은 문제이다. 다가올 시대는 보다 높은 수준의 과학기술의 시대가 될 것이다. 우리사회에서도 과학문화를 표방하는 수많은 정책과 사업이 추진되고있는 상황이라 이에 대한 근본적 검토와 방향들을 모색하고 한국의 과학문화를 분석해 보았다. 첫째, 과학문화의 본질과 탐색으로 개념과 의의를 정의하고, 한국사회에서 과학문화의 역사학적 고찰과 현 시점에서의 과학문화를 재구성하는 방안을 기술했다. 둘째, 해외 선진국의 과학문화 프로젝트와 정책사안을 살펴 모범사례로 삼을 수 있도록 했다. 셋째, 이러한 전제와 구성을 통해 한국사회에 맞는 과학문화의 실천방안과 전망을 ①교육 개혁방향 ②과학문화와 언론의 연계와 역할 ③과학문화와 대중으로 요약하였고 이를 토대로 결론을 도출하였다.

The Period of scientific culture is a feature of the global village as well as Korean society. Up untill now an argument about desirable scientific culture has not been accomplished. Indifference and barriers of science has been a same problem as well as a negative attitude toward science and engeering which has become an issue recently. In the near future scientific technology will develop at an unprecedented pace. Since a lot of policy work which claims to stand for scientific culture is being promoted, we must try to consider this problem from a new perspective. First, we must defin a fundamental notion and the meaning of scientific culture, and make a description of historical and reorganizational way of scientific culture in Korean society up to this point in time. Second, we must make a model project of an advanced country. Third, we must derive a conclusion in regards to ①educatioal reform ②scientific culture and a connection focusing on the role of the press ③scientific culture within the masses in reference to these premises and organization that correspond to scientific culture in Korean societ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