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9.234.141
3.149.234.141
close menu
KCI 등재
주술적 관점에서 본 가면(Mask)과 그래픽이미지의 근원적 동질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undamental Homogeneity of Masks and Graphic images from a Shamanic Perspective
김병옥 ( Kim Byeong Ok ) , 최영옥 ( Choi Young Ok )
한국디자인포럼 14권 79-89(11pages)
UCI I410-ECN-0102-2018-600-000078281

현대 그래픽디자인은 마케팅 도구로서 뿐만아니라 기업의 무형적 자산가치를 형성하는 데 상당한 기여를 해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 속에서 그래픽디자인이 가져야 할 인간 본질적인 측면이 외면되는 것은 그래픽디자인의 발전을 위해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은 원시 주술적 소통매체인 가면(Mask)과 그래픽이미지 사이에서 존재하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의 유사성, 기능의 동질성을 도출하고 그래픽이미지에 투영된 인간의 본능적, 심리적 측면을 주술적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주술의 개념과 원리, 가면의 기능과 주술적 상징성, 그래픽이미지와 가면의 커뮤니케이션적 상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논문을 전개하였다. 이를 통해 그래픽이미지는 주술적 성격을 포함하고 있으며, 가면과 유사한 커뮤니케이션적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는 점, 표현체계와 방식에 있어서 상당히 유사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여 가면과 그래픽이미지 사이에 근원적 동질성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It is undeniable that contemporary graphic design has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not only as a marketing tool but also to the establishment of intangible asset values. However, it is undesirable for the development of graphic design to neglect the aspect of human nature demanded to graphic design. Therefore,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derive similarity in communication process and functional homogeneity between masks, which are primitive shamanic communication media, and graphic images, and to make a shamanic approach to the instinctive and psychological aspect of humans projected on graphic images.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the concept and principles of shamanism, the function and shamanic symbolism of masks, and the communicative correlation between graphic images and masks, and developed the discussion based on related literature. From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there is fundamental homogeneity between masks and graphic images through drawing conclusions that graphic images contain shamanic nature and adopt communication structure similar to masks and that they are quite similar in the expression system and metho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