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14.224.197
52.14.224.197
close menu
KCI 등재
시각적 혼잡상황에서 소매점 사인의 회상율에 대한 수 및 침입성과 노출시간 간의 상호작용 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A Prospective Study on the Mutual Relation Effect of Quantity and Intrusiveness and Exposure Time of Retail Store Signs from Visual Clutter
권재경 ( Kwon Je Gyeuong )
한국디자인포럼 15권 25-40(16pages)
UCI I410-ECN-0102-2018-600-000063819

유통산업에서 소매점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을 고려하면 소매점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마케팅 역량의 제고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소매점 사인의 무분별한 혼잡도 현상에 인대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혼잡도 현상이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상가의 사인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소매점 사인의 수용자 회상율에 대해 수 증가 및 침입성 증가와 노출시간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각각 어떠한지에 대해 이론적, 실증적으로 분석한 논문이다. 소매점 사인 수와 침입성이 증가할수록 수용자가 지각한 사인에 대한 회상율은 노출시간 증가에 따라 어느 정도는 증가 하지만, 소매점 사인 수와 침입성이 증가함에 이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노출시간은 회상율에 별 의미를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논문은 첫째, 소매점 점주들에게 사인 혼잡도와 수용자 회상을 고려해야만 하는 필요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둘째, 도시환경 보전차원의 기준점을 제시함과 동시에 소매점 사인의 질적 향상을 통한 매체전략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며 셋째, 옥외광고매체 중에서 아직까지 전혀 객관적 검증에 의해 시도되지 않은 소매점 사인의 혼잡도 현상에 대한 중요성을 부각 시키고 환경적인 측면과 커뮤니케이션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도록 하는 인식전환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If we consider the importance of retail stores in distribution industry, it is urgent to raise marketing capacity including the promotion method, which can deliver familiarly their image to improve their competitiveness. The study considered mutual relation of quantity, their intrusiveness and recollection among key variables which affected meaningfully recollection and the clutter level of sign boards in retail stores and created these variables as independent variables to take consumers` recollection and the clutter level of sign boards in retail stores into accoun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increase of intrusiveness and exposure time in relation to the consumers` recollection level of sign boards in retail stor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